단독·전원주택

무우운(muuun)

경주시 배동에 위치한 '무우운(muuun)' 프로젝트 계획에 앞서 한옥의 다양한 사례를 연구하며 한 가지 의문이 생겼다. 혹시 '한옥'에 대한 인식을 고정관념으로 덮어두고,특정 시대나 유형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전통한옥, 혹은 현대적 재해석과 같은 특정 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현시대에 만들어질 한옥을 생각하며 '무우운'을 설계하였다. 


계획은 마당을 만드는 것에서 시작했다. 'ㄱ자' 한옥 두 채를 두고 남측에는 진입마당을, 북측은 박혁거세의 탄생신화가깃든 사적 ‘나정’을 바라보는 마당을, 동측에는 신라의 역사를 품고 있는 ‘남산’을 바라보는 마당을 구획하였다.

경북 경주시 배동
용도 단독·전원주택
구조 한옥목구조
설계(주)노말건축사사무소
시공강인건설 Kang-in
인테리어N/A
사진최용준 Choi Yong Joon
설계 기간8개월
시공 기간7개월
대지면적733.00㎡ (221.79평)
건축면적143.73㎡ (43.49평)
연면적143.73㎡ (43.49평)
층수지상 1층
가구수1가구
준공년도2022년

Exterior - 마당

진입마당에서 특별한 첫 인상을 주기 위해 두 가지의 시도가 있었다. 먼저 두 한옥이 만나는 모퉁이에 45도 꺾은 입구를 만들어 맞이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진입마당을 향한 입면에는 반침을 두어 한옥의 구조로부터 제약 없는 자유로운 파사드를 만들었다. 파사드는 동일한 규격의 회벽을 연속시켜 질서를 부여하되, 객실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도록 하였다. 

진입마당에서 특별한 첫 인상을 주기 위해 두 가지의 시도가 있었다. 먼저 두 한옥이 만나는 모퉁이에 45도 꺾은 입구를 만들어 맞이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진입마당을 향한 입면에는 반침을 두어 한옥의 구조로부터 제약 없는 자유로운 파사드를 만들었다. 파사드는 동일한 규격의 회벽을 연속시켜 질서를 부여하되, 객실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도록 하였다. 

Exterior

Exterior - 야경

Interior - 객실

'ㄱ자' 평면의 두 객실은 모서리 칸을 중심으로 입구와 가까운 곳에 거실을, 먼 곳에는 침실을 배치하였다. 도로와 이웃이 마주한 진입마당으로는 굳게 닫힌 반면, 각각의 마당을 향해 열린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Interior - 거실과 부엌

거실과 부엌은 네 짝 창호를 두어 입면 전체를 열 수 있도록 하였고, 침실 공간은 한지와 삼베문을 추가로 설치해 채광을 조절할 수 있는 내밀한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한지와 삼베를 통해 여과되는 빛은 '무우운'이라는 이름처럼 안개와 구름을 연상시킨다. 반침으로 닫힌 면에도 상부에 맞창을 두어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Interior - 내부

한옥의 내부공간은 각 실의 분위기와 사용성, 그리고 편안함 등을 고려하여 재료를 구성해 나갔다. 바닥의 경우 단차를 달리하여 현대인에게 편리한 입식공간과 한옥의 좌식공간이 공존하도록 하였다. 입식가구와 동선이 될 공간에는 강화마루를 설치하고, 잠을 자거나 앉아서 쉴 공간에는 콩댐한 장판지와 흙미장을 사용해 전통재료의 미감을 느끼도록 하였다. 벽과 천장의 경우 전통 한옥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색상한지를 사용하여 색다른 분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Interior - 욕실

객실 가장 끝에는 욕실을 두었는데, 서까래가 드러나는 높은 천장을 두고 필요에 따라 문을 활짝 열어 노천탕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낮게 설치된 욕조는 타일로 만든 현대적인 우물이기도 하다. 박혁거세의 탄생설화 중 목욕 이야기가 나오는 '나정'의 설화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무우운(muuun)

무우운을 방문할 다양한 방문객들이 각기 다른 계절과 시간에 어우러지는 한옥의 특성을 즐기고 사색에 잠길 수 있는 시간을 보냈으면 한다.

(주)노말건축사사무소의 다른 프로젝트

무우운(muuun)
(주)노말건축사사무소
(주)노말건축사사무소
단독·전원주택 · 1층
경주시 배동에 위치한 '무우운(muuun)' 프로젝트 계획에 앞서 한옥의 다양한 사례를 연구하며 한 가지 의문이 생겼다. 혹시 '한옥'에 대한 인식을 고정관념으로 덮어두고,특정 시대나 유형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전통한옥, 혹은 현대적 재해석과 같은 특정 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현시대에 만들어질 한옥을 생각하며 '무우운'을 설계하였다. 계획은 마당을 만드는 것에서 시작했다. 'ㄱ자' 한옥 두 채를 두고 남측에는 진입마당을, 북측은 박혁거세의 탄생신화가깃든 사적 ‘나정’을 바라보는 마당을, 동측에는 신라의 역사를 품고 있는 ‘남산’을 바라보는 마당을 구획하였다.
단독·전원주택 · 2층
'과학자의 집'좋은 집이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건축주와 함께 설계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어디에, 누가, 어떻게 사용하는 집인가에 따라 답은 항상 다르기 때문이다. ‘과학자의 집’은 삼대가 한 집에서 따로, 또 같이를 추구한다. 가족 구성원은 건축주 부부와 자녀, 부모님으로 아버님은 과거 과학을 가르친 선생님이고, 건축주 부부는 기초과학을 연구하는 학자이다. ‘과학자의 집’에서 ‘좋은 집’을 건축주와 같이 연구하고 토론을 하며 만들어졌다.
단독·전원주택 · 3층
건축주는 오랫동안 살아온 집을 철거하고 같은 곳에 새로운 집을 짓기로 하였다. 가족들이 오랜 기간 살았던 곳이라 해당 대지의 장단점을 뚜렷하게 알고 있었으며, 동시에 다양한 집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었기에, 본인들에게 꼭 맞는 집이 어떠한 집인지에 대한 이해와 기대가 높았다. 해당 대지가 주변 대지와 다른 점은 유사한 형태의 건물들이 반복적으로 지어진 주택단지 내 대지임에도 불구하고, 그중 모서리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4면 중 3면이 경사로로 접하여 있으며, 서측과 동측의 대지의 고저차가 4.9미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이하게도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일부를 근린생활시설로 사용 가능한 점포주택 대지였다.  전체적인 규모는 건축주와 협의 단계에서 주변 건물보다 크게 계획되었다. 2층을 규모로 계획하고 있었으나, 가족 구성원들의 요구사항으로 3층이 되었고, 모서리에 위치하다 보니 사생활 보호를 위한 담장 계획이 건물의 볼륨을 커 보이게 하는 요소가 되었다. 지구단위계획의 경사지붕 의무도 요소 중 하나로 더해졌다. 충분한 규모를 확보하면서도 주변 건물보다 커 보이지는 않길 바라는 기대가 이 프로젝트의 주요한 과제였다.
상가건물 · 2층
'신이화' 프로젝트는 목련 꽃봉오리를 닮았다. 꽉 닫혀있던 봉오리가 활짝 필 준비를 하며 한쪽에서부터 터져나가는 형상을 닮고 있다. 건축주는 새로운 시작을 위해 사적이고 독창적인 작업 공간을 필요로 했다. 사용성으로도 상징적으로도 건축주에게 알맞은 건물을 설계하고 싶었다. 해당 대지가 차분하고 조용한 주택가인 만큼 주변과 잘 어우러지면서도 상업공간인 만큼 확실한 차별성도 역시 중요하다고 판단되었다. 건축주도 화려하게 돋보이기보다는 차분하고 개인의 사색을 즐기는 분이었기에 건축에서도 같은 성향을 구성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