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호재(Jeokhoje)
건축주는 오랫동안 살아온 집을 철거하고 같은 곳에 새로운 집을 짓기로 하였다. 가족들이 오랜 기간 살았던 곳이라 해당 대지의 장단점을 뚜렷하게 알고 있었으며, 동시에 다양한 집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었기에, 본인들에게 꼭 맞는 집이 어떠한 집인지에 대한 이해와 기대가 높았다.
해당 대지가 주변 대지와 다른 점은 유사한 형태의 건물들이 반복적으로 지어진 주택단지 내 대지임에도 불구하고, 그중 모서리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4면 중 3면이 경사로로 접하여 있으며, 서측과 동측의 대지의 고저차가 4.9미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이하게도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일부를 근린생활시설로 사용 가능한 점포주택 대지였다.
전체적인 규모는 건축주와 협의 단계에서 주변 건물보다 크게 계획되었다. 2층을 규모로 계획하고 있었으나, 가족 구성원들의 요구사항으로 3층이 되었고, 모서리에 위치하다 보니 사생활 보호를 위한 담장 계획이 건물의 볼륨을 커 보이게 하는 요소가 되었다. 지구단위계획의 경사지붕 의무도 요소 중 하나로 더해졌다. 충분한 규모를 확보하면서도 주변 건물보다 커 보이지는 않길 바라는 기대가 이 프로젝트의 주요한 과제였다.


설계 | (주)노말건축사사무소 |
---|---|
시공 | 자연과 우리 |
인테리어 | N/A |
사진 | 노경 Roh Kyung |
설계 기간 | 5개월 |
시공 기간 | 6개월 |
대지면적 | 459.90㎡ (139.15평) |
---|---|
건축면적 | 217.42㎡ (65.79평) |
연면적 | 572.07㎡ (173.09평) |
층수 | 지상 3층, 지하 1층 |
가구수 | 1가구 |
준공년도 | 2022년 |
Exterior
'익숙한 요소로 채워진 집'
해당 대지를 포함한 주택단지 내 건물들은 대부분 벽돌로 지어져 있었으며 하나의 볼륨보다는 분절된 볼륨과 지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의 특징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주변의 맥락과 어우러지고 요구사항에 의해 커진 볼륨에 대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기대하였다. 큰 볼륨을 작은 볼륨들로 나누고, 3층을 2층에서 살짝 띄어내고 3개로 나누어진 지붕의 방향을 다시 서로 다르게 하였다. 보편적인 단일 재료에 따른 큰 덩어리감은 콘크리트 슬래브 띠로 층을 나누어 구분하였으며 벽돌을 쌓는 방식도 3가지의 벽돌 쌓는 방식을 통해 다채롭게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