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점토건축사사무소 변경하기

지점토건축사사무소

건축설계 전문가
대표
이정욱
경력
6년
업무 영역
건축설계
연락처
010-5350-9003
지점토건축사사무소
'집'이라는 본질적인 역할에 대해 항상 고민하고 연구하는 일을 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건축적으로 어떻게 구현을 해주어야 하는가를 시작으로, 궁극적으로는 건축주에게 '살고싶은집', '머물고싶은집'을 제공해 드리고자 하는 건축설계사무소입니다.
지점토건축사사무소
'집'이라는 본질적인 역할에 대해 항상 고민하고 연구하는 일을 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건축적으로 어떻게 구현을 해주어야 하는가를 시작으로, 궁극적으로는 건축주에게 '살고싶은집', '머물고싶은집'을 제공해 드리고자 하는 건축설계사무소입니다.
단독·전원주택 · 2층
대지내 고저차가 1m가량 있는 약경사지의 택지지구이다. 건축주는 3대가 지낼 공간으로 주택을 짓고자 하였고, 주택에서 지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짓고자하는 방향성을 확실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따뜻하고, 햇볕이 잘드는 실내 공간 그리고 공간의 변화를 곳곳에 두어, 단독주택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볼 수 있는 다이나믹한 공간을 구획하고 만끽할 수 있는 집을 원했다.경사지라는 점을 적절히 사용하여, 실내에서 단차를 구획 할 수 있었고, 거실은 브라우니만의 개방감 있고 특색있는 공간으로 탄생하였다.
단독·전원주택 · 2층
단독주택 "소우주"경사지에 자리잡은 사업대지는 서측에 면한 도로로 진입하는 형태의 땅입니다. 부지 내 경사로 인하여 지하차고 계획이 필수였으며, 지하주차장에서 현관, 현관에서 각 공간 및 외부 마당까지 이르는 동선의 흐름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가 관건이었던 프로젝트였으며, 남서측의 마당공간 확보함으로써, 주요 공간에 일조 및 채광을 극대화 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상가건물 · 3층
듀플렉스 주택의 거실을 최상층으로 계획하여, 다락의 공간 연계를 통해 넓은 개방감과 다채로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던 듀플렉스 주택 계획안입니다.
단독·전원주택 · 1층
중정주택이 짓고싶었던 건축주께서 연락이 오셨습니다.연락을 받고 찾아간 대지는 다가구주택도 설계가 가능한 큰 땅의 필지였습니다. 임대수익성보다는 주택에서의 삶이 무엇보다 중요하셨던 건축주께서는 지금의 땅에 프라이빗한 마당을 갖는것이 주택을 짓는 최대목표셨습니다. 사업대지는 동측에 근린공원이 있었고, 북측에는 공원으로 진입하는 보행로가 있었습니다. 보행로부터 주차진출입이 불가능했기에 주차는 자연스레 대지의 남측으로 자리하게 되었고, ㅁ자 중정이냐 ㄷ자 중정이냐의 갈림길이 큰 고민중 하나였습니다.복도로 뺏기는 면적이 컸기에, 또한 동측의 근린공원을 품고자 ㄷ자로 매스를 형성하고, 공원을 더 적극적으로 품고자하여 남측 매스를 더 벌려 지금의 매스형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크게 북측공간,남측공간을 나누어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의 경우의수를 판단하고, 이에 파생되는 예상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논의가 계획의 주된 내용이었습니다.현재는 거실에서 다같이 생활하는 스타일에 맞춰 거실에서 보여지는 햇살비친 중정이 매력적인 요소로 다가왔고, 지금의 '여름방학'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단독·전원주택 · 2층
영종도 생활권에서 거주하셨던 건축주분께서 찾아오셨습니다.프라이빗한 마당과 밝고 개방감 있는 주택을 짓고자 하셨고, 찬찬히 대지를 둘러본 후 계획에 들어갑니다..남측 전면도로와 북측의 보행로. 클러스터안쪽이 꾸며진 소공원이라 북측 보행로의 유동인구가 적지않을것이라 판단.마당을 대지의 가운데로 들이는것이 라온하우스 탄생의  첫걸음이었습니다. 역 'ㄷ'자 형태의 매스로 출발하여, 다른 요청사항인 개방감을 어떻게 확보할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주차공간 확보를 위한 매스절단. 중정 및 실내로의 햇빛유입을 위한 남쪽 매스 일부 절단.중정의 매스답게 중정쪽을 향한 창호계획 + 채광을 위한 남측면 창호계획 + 북측 보행로으로부터의 차단 등등의 요소를 연구하여 건축물의 매스가 완성됩니다.다음 이루어진 것은 공간의 배치와 동선계획! 현관에서 바로 올라가는 계단 동선이 맞을지에 대한 고민. 거실과 주방의 분리에 대한 고민 등등의 결과로 현재의 라온하우스가 탄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