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전원주택

화성시 장지동 "브라우니"

대지내 고저차가 1m가량 있는 약경사지의 택지지구이다. 

건축주는 3대가 지낼 공간으로 주택을 짓고자 하였고, 주택에서 지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짓고자하는 방향성을 확실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따뜻하고, 햇볕이 잘드는 실내 공간 그리고 공간의 변화를 곳곳에 두어, 단독주택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볼 수 있는 다이나믹한 공간을 구획하고 만끽할 수 있는 집을 원했다.

경사지라는 점을 적절히 사용하여, 실내에서 단차를 구획 할 수 있었고, 거실은 브라우니만의 개방감 있고 특색있는 공간으로 탄생하였다.

경기도 화성시 장지동
용도 단독·전원주택
구조 경량목구조
설계지점토건축사사무소
시공맑은주택
인테리어맑은주택
사진이정욱
설계 기간6개월
시공 기간7개월
대지면적264.70㎡ (80.09평)
건축면적130.67㎡ (39.54평)
연면적199.33㎡ (60.31평)
층수지상 2층+다락
가구수1가구
준공년도2023년

외관

집의 외관은 브라우니라는 이름에 맞게 브라운계열의 벽돌타일을 사용하였으며, 다양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매스의 형태도 다이나믹하게 구현 될 수 있었다.

계획안 3D 이미지

설계를 진행하면서 단계에 맞춰 3D 이미지를 구현하여, 최종결과물과의 간극을 최소화하고, 시공 전에 추후 살게 될 집에 대한 공간의 가늠을 조금이나마 도와드리는 작업을 하고있다.

부모님방

1층의 부모님방 공간은 독립적으로 방해받지 않는 위치, 공용공간(거실,주방)의 접근은 용이한 위치를 원하셨다.

현관,계단인 동선공간+마당을 중심으로 남측에 공간을 배치하여, 일조량은 확보하고, 독립공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거실

3대가 모여사는 집인 만큼 공용공간의 크기는 개방감을 최대로 하고 싶어하셨고, 거기에 채광 및 집앞 마당의 조경을 조망할 수 있는 공간이기를 원하셨다.

바닥단차와 천장단차를 활용하여, 거실의 공간감을 극대화하였고, 그와 동시에 창호계획(높이)도 더 크게 설계하였다.

2층 가족실

아이방

아이방의 경우는 독립적인 다락을 확보하여, 아이들이 다양하게 방을 꾸미고 지낼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부부침실

도로에 면한 부부침실은 바로 앞 근린공원의 조망과 막히지않는 일조로 브라우니의 메인 침실다운 면모를 갖추고있다.

화장실

다락 및 외부공간

지점토건축사사무소의 다른 프로젝트

화성시 장지동 "브라우니"
지점토건축사사무소
지점토건축사사무소
단독·전원주택 · 2층
대지내 고저차가 1m가량 있는 약경사지의 택지지구이다. 건축주는 3대가 지낼 공간으로 주택을 짓고자 하였고, 주택에서 지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짓고자하는 방향성을 확실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따뜻하고, 햇볕이 잘드는 실내 공간 그리고 공간의 변화를 곳곳에 두어, 단독주택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볼 수 있는 다이나믹한 공간을 구획하고 만끽할 수 있는 집을 원했다.경사지라는 점을 적절히 사용하여, 실내에서 단차를 구획 할 수 있었고, 거실은 브라우니만의 개방감 있고 특색있는 공간으로 탄생하였다.
단독·전원주택 · 2층
전면도로와 대지 최고점이 4.5m가량 차이나는 경사지였던 대잠동 프로젝트는 택지내의 코너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지의 한쪽 편은 곡선의 형태로 경계가 이루어져 있고, 마당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곡선 공간을 잘 활용하는 것이 관건이었다. 배치의 요구조건으로는 이면도로에서의 프라이버시확보, 마당공간 최대 확보가 있었으며, 이 내용을 실현시키기에는 지하차고가 꼭 필요한 사항이었다. 성토되는 부지에서의 전망을 극대화 하기위해 지하차고를 최대한 측면으로 구획하여 코너부 선큰의 외부계단 ->건물뒤쪽의 주출입의 진입동선을 계획하였고, 건물을 최대한 북쪽으로 배치하여, 마당공간을 확보하였다.
단독·전원주택 · 2층
단독주택 "소우주"경사지에 자리잡은 사업대지는 서측에 면한 도로로 진입하는 형태의 땅입니다. 부지 내 경사로 인하여 지하차고 계획이 필수였으며, 지하주차장에서 현관, 현관에서 각 공간 및 외부 마당까지 이르는 동선의 흐름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가 관건이었던 프로젝트였으며, 남서측의 마당공간 확보함으로써, 주요 공간에 일조 및 채광을 극대화 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상가건물 · 3층
듀플렉스 주택의 거실을 최상층으로 계획하여, 다락의 공간 연계를 통해 넓은 개방감과 다채로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던 듀플렉스 주택 계획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