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전원주택

파우재, 인제 주택 소월숲스테이

매혹의 계곡, 매혹의 상록수림


소나무와 잣나무가 많고 흙이 좋은 인제군 기린면 현리의 어은골 계곡.

봄과 여름 사이에는 송화가루가 노랗게 쌓이고, 겨울엔 삵바람이 지나가면서 묵직한 눈과 쌀가루 눈이 번갈아 가면서 내린다.

청록색이면서 남색이고 녹색이기도한 잎을 지닌 수천그루의 잣나무, 소나무들의 뒷산, 그들을 처음본 순간 이 집에 대한 바램은 ‘처음부터 거기에 있었던 것처럼’이었다.

파우재(PAUSE)가 어은골과 잣나무숲의 일부가 되기를 바랐다.

 

재료와 구법구현, 지역성과 장소, 같이 풀어내기


당연스럽게도 집을 짓는 재료는 나무와 흙이 되었다.

소박하면서도 힘있는 뼈대와 서까래, 거칠면서 자연스런 질감을 느낄수 있는 잣나무 껍질같은 흙미장이 기본이 되었다.

한옥의 처마선이 기본이 되어 창문의 높이는 전부 1.8미터 이하로 낮추었다. 고개를 조금 숙이거나 앉아야만 계곡과 숲을 볼수 있게하여 집의 위압감을 덜어내려 하였다. 요즘 주택의 편의성은 유지하고 한옥과 같이 목조주택의 맛은 살리기 위해 실내에서 목구조 프레임을 최대한 노출시키면서, 구조목을 조명의 기본으로 사용하고, 모양은 최대한 단순하게 하였다.

소박하고 단촐함을 기본으로 하고 집으로서의 정체성의 나머지는 살아가는 가족에게 맡겼다.

 

잣나무 껍질의 미감을 흉내내어, 흙미장의 깊이와 모양을 2주일 동안 수정하면서 만들어냈다.

색깔은 시공 시행착오와 결과의 잘못을 건축가인 우리가 인정하고 두 번의 수정 과정을 거쳐서 매혹의 계곡과 숲에 누가 되지않게 결과가 나왔다.

지역성은 재료와 구법에서, 장소에 대한 고민은 의외로 색깔과 바라보는 높이에서 근접점을 찾았다. 건축가는 풀어가는 사람이지 강요하는 존재는 아닌 것 같음을 새삼 느꼈다.

 

처음엔 집, 지금은 스테이. 정체성의 변화


처음엔 두 노부부가 살아가는 집이 건축의 목적이였다.

지어지는 과정에서 건축주 자녀분과의 대화와 교감이 많이 이루어지고, 지인들이 다녀가면서 사용의 목적이 바뀌기 시작했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묵고가는 스테이(민박)가 되었다.

집이란 지역성, 장소, 재료와 구법이 잘 혼합되어 지어지지만 물건만이 아니기에 이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른 무엇이 되는 것 같다.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파우재, 인제 주택 소월숲스테이
(주)해담건축 건축사사무소
(주)해담건축 건축사사무소
단독·전원주택 · 1층
매혹의 계곡, 매혹의 상록수림소나무와 잣나무가 많고 흙이 좋은 인제군 기린면 현리의 어은골 계곡.봄과 여름 사이에는 송화가루가 노랗게 쌓이고, 겨울엔 삵바람이 지나가면서 묵직한 눈과 쌀가루 눈이 번갈아 가면서 내린다.청록색이면서 남색이고 녹색이기도한 잎을 지닌 수천그루의 잣나무, 소나무들의 뒷산, 그들을 처음본 순간 이 집에 대한 바램은 ‘처음부터 거기에 있었던 것처럼’이었다.파우재(PAUSE)가 어은골과 잣나무숲의 일부가 되기를 바랐다. 재료와 구법구현, 지역성과 장소, 같이 풀어내기당연스럽게도 집을 짓는 재료는 나무와 흙이 되었다.소박하면서도 힘있는 뼈대와 서까래, 거칠면서 자연스런 질감을 느낄수 있는 잣나무 껍질같은 흙미장이 기본이 되었다.한옥의 처마선이 기본이 되어 창문의 높이는 전부 1.8미터 이하로 낮추었다. 고개를 조금 숙이거나 앉아야만 계곡과 숲을 볼수 있게하여 집의 위압감을 덜어내려 하였다. 요즘 주택의 편의성은 유지하고 한옥과 같이 목조주택의 맛은 살리기 위해 실내에서 목구조 프레임을 최대한 노출시키면서, 구조목을 조명의 기본으로 사용하고, 모양은 최대한 단순하게 하였다.소박하고 단촐함을 기본으로 하고 집으로서의 정체성의 나머지는 살아가는 가족에게 맡겼다. 잣나무 껍질의 미감을 흉내내어, 흙미장의 깊이와 모양을 2주일 동안 수정하면서 만들어냈다.색깔은 시공 시행착오와 결과의 잘못을 건축가인 우리가 인정하고 두 번의 수정 과정을 거쳐서 매혹의 계곡과 숲에 누가 되지않게 결과가 나왔다.지역성은 재료와 구법에서, 장소에 대한 고민은 의외로 색깔과 바라보는 높이에서 근접점을 찾았다. 건축가는 풀어가는 사람이지 강요하는 존재는 아닌 것 같음을 새삼 느꼈다. 처음엔 집, 지금은 스테이. 정체성의 변화처음엔 두 노부부가 살아가는 집이 건축의 목적이였다.지어지는 과정에서 건축주 자녀분과의 대화와 교감이 많이 이루어지고, 지인들이 다녀가면서 사용의 목적이 바뀌기 시작했다.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묵고가는 스테이(민박)가 되었다.집이란 지역성, 장소, 재료와 구법이 잘 혼합되어 지어지지만 물건만이 아니기에 이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른 무엇이 되는 것 같다. 
단독·전원주택 · 1층
'소월숲의 산곡을 닮은 집, 선유재와 거닐다.'1년여의 디자인 작업과 6개월의 시공기간 끝에 선유재가 준공되었다.선유재는 신선이 거니는 숲속의 집이라는 첫 번째 뜻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의 건축적 뜻풀이는 소월숲의 계곡과 산을 모티브로한 산수일체의 형태적 디자인을 가진 집이라는 것이다.이 집은 소월숲에서 처음부터 게스트하우스로 기획된 첫집이다.그런만큼 외부 형태와 평면의 흐름과 독특한 녹색의 자쿠지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단독·전원주택 · 1층
리노베이션 주택의 시작60대 건축주는 어머니가 10여년간 거주하시던 집을 고쳐서 사용하기를 희망했다. 목조지붕과 벽돌로 이루어진 집은 지어진지 25년 가까이 된 오래된 집이었다. 안방은 추위에 취약했고, 거실은 부지가 가지고 있는 뛰어난 전망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해 답답한 느낌이 강했다. 주방은 낮에도 어둡고 환기에도 문제가 있었다. 화장실은 전체적인 집의 규모에 비해 과하게 커 실용적이지 않았고, 환기에 문제가 있어 냄새가 많이 났으며 채광도 부족했다. 아들인 건축주는 고령의 어머니가 생활하기 편한 동시에, 아들인 본인도 어머니와 함께 머물 수 있도록 집을 리노베이션 하기를 원했다.
단독·전원주택 · 1층
‘담월재’라고 이름 붙여진 강원 인제 소월숲의 한 풍경이 된 이 주택은 바닥 면적이 25평을 조금 넘어서는 수준의 거의 창고로 사용되던 ‘숙소’를 리노베이션한 스테이(게스트하우스)다. 두 달여의 리노베이션 분석과 디자인 기간의 첫 목표는 ‘새롭게 단장하는 수준’으로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