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전원주택

어은재

리노베이션 주택의 시작

60대 건축주는 어머니가 10여년간 거주하시던 집을 고쳐서 사용하기를 희망했다. 목조지붕과 벽돌로 이루어진 집은 지어진지 25년 가까이 된 오래된 집이었다. 안방은 추위에 취약했고, 거실은 부지가 가지고 있는 뛰어난 전망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해 답답한 느낌이 강했다. 주방은 낮에도 어둡고 환기에도 문제가 있었다. 화장실은 전체적인 집의 규모에 비해 과하게 커 실용적이지 않았고, 환기에 문제가 있어 냄새가 많이 났으며 채광도 부족했다. 아들인 건축주는 고령의 어머니가 생활하기 편한 동시에, 아들인 본인도 어머니와 함께 머물 수 있도록 집을 리노베이션 하기를 원했다.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용도 단독·전원주택
구조 경량철골조
설계(주)해담건축 건축사사무소
시공해담건축CM
인테리어해담건축CM
사진최진보
설계 기간4개월
시공 기간3개월
대지면적393.00㎡ (118.91평)
건축면적99.00㎡ (29.95평)
연면적99.00㎡ (29.95평)
층수지상 1층
가구수1가구
준공년도2021년

집의 주제, 집이라는 곳과 남겨야 하는것

어머니를 위해 집을 리노베이션 하기로 결정한 건축주는 백발이 성성했다. 젊은날부터 가족을 위해 한평생 헌신한 그분의 삶은 그 분의 온 몸 가득 담겨 있었다. 건축주의 어머니는 왜소한 체구지만 맑고 정정한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그 분의 손에 눈길이 갔다. 우리네 할머니, 어머니의 손이 떠올랐다. 가족을 위해 물 마를 일 없이 늘 젖어있었던 탓인지 물고기 비늘처럼 갈라지고 하얗게 각질이 일어나던 거칠고 주름진 손. 그 손에서 물고기 비늘을 떠올렸다. 물고기는 풍요의 상징이기도 해, 새롭게 고치는 집의 이름은 물고기가 깃들어 있는 집이란 의미의 어은재로 지었다.

기존 집의 존치와 재료 풀어내기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기존 집의 벽돌 벽은 단단한 편이었다. 복병은 지붕이었다. 지붕의 바탕면이 많이 낡고 헐어 있는 상태였다. 지붕의 바탕면에 합판과 구조목을 덧대고 방수와 마감을 다시 했다. 동시에 측면의 형태를 두껍게 하여 시지각적으로 집이 살짝 대지로 가라앉도록 했다. 공사를 진행하는 중간 대들보가 드러났다. 이를 활용하고 싶었으나, 리노베이션이 진행중인 상황에서 대들보를 디자인적으로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기록만 해 둔 채 기존 구조로 활용하였다.

아치와 역아치가 동시에 드러나는 창호 디자인의 경우, 외관상의 아름다움과 함께 기능적 요소도 고려한 결과였다. 환기시 창호를 열 경우 위쪽이 열리는 것이 효율적이라 3개의 창호는 역아치로 구성했다. 

기존 집 외부

Exterior - 정면 야경

아이들, 일주일에 이틀 민박.

건물 정면 데크에는 물고기 꼬리처럼 외부공간을 형성하였다. 해당 공간을 구성하며 아이들이 그곳을 뛰어다니고 누워도 보는 상상을 했다. 아쉽게도 아직까지 아이들이 공간을 만끽하는 모습을 지켜볼 기회는 얻지 못했다. 고령의 건축주 어머니께서는 안타깝게도 거동이 다소 불편해져 현재 다른 곳에서 지내신다. 어은재에는 일주일 중 5일은 건축주가 머물고, 2일은 스테이 민박으로 활용되고 있다.

Exterior - 물고기 디테일과 길 / 안방과 거실 야경

Exterior - 정우측

Exterior - 우측면

Exterior - 좌측면과 소나무

Exterior -주출입구와 전면데크 야경

Exterior - 정좌측 야경

Exterior - 거실과 전면 데크

Exterior - 아이들을 위한 사잇공간 / 현관 캐노피

Exterior - 아이들을 위한 데크와 사잇공간 / 거실 전면 반사유리 커튼월

기존 건축물 내부

Exterior - 거실

Interior - 거실, 주방

Interior - 주방

Interior - 현관에서 거실 방향 / 주방에서 거실 방향

Interior

Interior - 거실 현관 뷰

Interior - 안방

(주)해담건축 건축사사무소의 다른 프로젝트

어은재
(주)해담건축 건축사사무소
(주)해담건축 건축사사무소
단독·전원주택 · 1층
리노베이션 주택의 시작60대 건축주는 어머니가 10여년간 거주하시던 집을 고쳐서 사용하기를 희망했다. 목조지붕과 벽돌로 이루어진 집은 지어진지 25년 가까이 된 오래된 집이었다. 안방은 추위에 취약했고, 거실은 부지가 가지고 있는 뛰어난 전망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해 답답한 느낌이 강했다. 주방은 낮에도 어둡고 환기에도 문제가 있었다. 화장실은 전체적인 집의 규모에 비해 과하게 커 실용적이지 않았고, 환기에 문제가 있어 냄새가 많이 났으며 채광도 부족했다. 아들인 건축주는 고령의 어머니가 생활하기 편한 동시에, 아들인 본인도 어머니와 함께 머물 수 있도록 집을 리노베이션 하기를 원했다.
단독·전원주택 · 2층
서연가는 파주출판단지 인근에 위치한 2층 단독주택으로, 파주시 서패동에 있는 '연씨네집'에서 이름을 따왔다. 모던한 주택과 한옥이 결합된 이 집은 가족을 위해 헌신해온 아내와 10년 넘게 가족과 함께해온 반려견 흰눈이를 위해 지어졌다. 앞쪽으로는 햇볕이 잘 들고, 옆으로는 소하천이 흐르며, 그 너머로는 넓은 논이 펼쳐진다. 뒤로는 정갈한 파주출판단지의 전경이 어우러져 있다.
단독·전원주택 · 1층
'소월숲의 산곡을 닮은 집, 선유재와 거닐다.'1년여의 디자인 작업과 6개월의 시공기간 끝에 선유재가 준공되었다.선유재는 신선이 거니는 숲속의 집이라는 첫 번째 뜻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의 건축적 뜻풀이는 소월숲의 계곡과 산을 모티브로한 산수일체의 형태적 디자인을 가진 집이라는 것이다.이 집은 소월숲에서 처음부터 게스트하우스로 기획된 첫집이다.그런만큼 외부 형태와 평면의 흐름과 독특한 녹색의 자쿠지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단독·전원주택 · 1층
‘담월재’라고 이름 붙여진 강원 인제 소월숲의 한 풍경이 된 이 주택은 바닥 면적이 25평을 조금 넘어서는 수준의 거의 창고로 사용되던 ‘숙소’를 리노베이션한 스테이(게스트하우스)다. 두 달여의 리노베이션 분석과 디자인 기간의 첫 목표는 ‘새롭게 단장하는 수준’으로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