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전원주택

GrownZip

인천 영종도 GrownZip

공방을 갖고자 했던 건축주의 니즈에 따라 영역을 분리하면서 접근을 시작하였습니다. 독립된 공방공간으로 하여금, 1층에는 공용공간이 메인으로 배치하게 되고 사적공간을 2층으로 올리는 방안으로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을 나누었습니다. 사적공간에서의 순환구조를 원하셨기에, 계단실은 건물의 중앙쪽에 자리잡게 되었고, 2층 가족실-복도-화장실-드레스룸-가족실 이라는 순환구조의 평면계획을 구성할수 있었습니다.

방의 배치는 남서측에 침실을 구성하여, 채광 확보에 중점을 두었으며, 기타 부속공간(화장실,세탁실) 등은 북측에 배치하여, 기능적 역할을 충실히 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인천 중구 운서동
용도 단독·전원주택
구조 경량목구조
설계지점토건축사사무소
시공맑은주택
인테리어맑은주택
사진N/A
설계 기간4개월
시공 기간6개월
대지면적247.90㎡ (75.01평)
건축면적119.16㎡ (36.05평)
연면적197.51㎡ (59.76평)
층수지상 2층+다락
가구수1가구
준공년도2022년

Workroom

건축물 남측 보행자도로에서는 공방의 창문이 자리하고있으며, 추후 공방 내부에서의 작은 전시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Interior-거실

Interior-다이닝

Interior-2F 가족실

Interior-2F 침실

Interior-2F 드레스룸&중앙계단

Interior-다락

지점토건축사사무소의 다른 프로젝트

GrownZip
지점토건축사사무소
지점토건축사사무소
단독·전원주택 · 2층
인천 영종도 GrownZip공방을 갖고자 했던 건축주의 니즈에 따라 영역을 분리하면서 접근을 시작하였습니다. 독립된 공방공간으로 하여금, 1층에는 공용공간이 메인으로 배치하게 되고 사적공간을 2층으로 올리는 방안으로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을 나누었습니다. 사적공간에서의 순환구조를 원하셨기에, 계단실은 건물의 중앙쪽에 자리잡게 되었고, 2층 가족실-복도-화장실-드레스룸-가족실 이라는 순환구조의 평면계획을 구성할수 있었습니다.방의 배치는 남서측에 침실을 구성하여, 채광 확보에 중점을 두었으며, 기타 부속공간(화장실,세탁실) 등은 북측에 배치하여, 기능적 역할을 충실히 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단독·전원주택 · 2층
단독주택 "소우주"경사지에 자리잡은 사업대지는 서측에 면한 도로로 진입하는 형태의 땅입니다. 부지 내 경사로 인하여 지하차고 계획이 필수였으며, 지하주차장에서 현관, 현관에서 각 공간 및 외부 마당까지 이르는 동선의 흐름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가 관건이었던 프로젝트였으며, 남서측의 마당공간 확보함으로써, 주요 공간에 일조 및 채광을 극대화 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상가건물 · 3층
듀플렉스 주택의 거실을 최상층으로 계획하여, 다락의 공간 연계를 통해 넓은 개방감과 다채로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던 듀플렉스 주택 계획안입니다.
단독·전원주택 · 1층
중정주택이 짓고싶었던 건축주께서 연락이 오셨습니다.연락을 받고 찾아간 대지는 다가구주택도 설계가 가능한 큰 땅의 필지였습니다. 임대수익성보다는 주택에서의 삶이 무엇보다 중요하셨던 건축주께서는 지금의 땅에 프라이빗한 마당을 갖는것이 주택을 짓는 최대목표셨습니다. 사업대지는 동측에 근린공원이 있었고, 북측에는 공원으로 진입하는 보행로가 있었습니다. 보행로부터 주차진출입이 불가능했기에 주차는 자연스레 대지의 남측으로 자리하게 되었고, ㅁ자 중정이냐 ㄷ자 중정이냐의 갈림길이 큰 고민중 하나였습니다.복도로 뺏기는 면적이 컸기에, 또한 동측의 근린공원을 품고자 ㄷ자로 매스를 형성하고, 공원을 더 적극적으로 품고자하여 남측 매스를 더 벌려 지금의 매스형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크게 북측공간,남측공간을 나누어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의 경우의수를 판단하고, 이에 파생되는 예상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논의가 계획의 주된 내용이었습니다.현재는 거실에서 다같이 생활하는 스타일에 맞춰 거실에서 보여지는 햇살비친 중정이 매력적인 요소로 다가왔고, 지금의 '여름방학'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