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건물

더 라움 서울

더 라움 서울_동대문구 휘경동 사옥 (2021)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용도 상가건물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설계라움 건축사사무소 방재웅 소장, 장근용 소장
시공위드라움
인테리어-
사진나르실리온 이한울 작가
설계 기간5개월
시공 기간4개월
대지면적159.00㎡ (48.11평)
건축면적83.41㎡ (25.24평)
연면적236.13㎡ (71.45평)
층수지상 2층, 지하 1층
가구수1가구
준공년도2021년

Exterior

회사 내 프로젝트가 많아지면서 함께 설계할 팀원들을 구하기 위해 많은 구직공고를 내보았지만, 서울사무실이 아닌 지역적인 한계와 신생에 소규모 건축사무소라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3명의 소장과 팀원들 간의 해결방안을 위한 회의를 통해 사무실을 분리해서 운영하는 방안으로 결정하였다.

 양평과 서울 2개로 분리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현재 팀원들을 중심으로 서울 디자인 연구소를 운영하고, 양평에 건축사사무소를 분리해서 운영하는 것을 생각하였고, 적합한 위치를 물색하던 중 양평사무소와 대중교통으로 연결되면서 건축학과가 있는 대학교와 근접한 동대문구 휘경동의 부지를 선정하였다.

기존 건축물이 1954년에 지어진 오래된 건물이라 과도한 구조의 조정은 어려웠고, 2면이 도로에 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저녁에 쓰레기가 쌓이게 되었던 어두운 공간을 밝게 바꾸어 주변 건축물에 선한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리모델링의 경우 기존 건축물에서 큰 변화를 주게 되면 공사비의 상승이 신축 이상으로 소요될 수 있어 기반시설(전기, 수도, 하수 등)의 경우 교체를 하지만 내무 마감과 구조를 변경하는 것은 최소화하기로 하였다. 또 일하는 팀원들의 업무공간과 휴게공간 등에 대한 면적 배분은 충분히 적용하고 건축사사무소의 연구공간이라는 인지성과 상징성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디자인 방향을 정했다.

 기존 주택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되, 주변 건축물과 적절한 대비를 위해 1층과 2층을 마감재를 분리하여 2층이 돋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주민들의 흡연 장소와 분리수거 공간으로 사용되었던 공간에 담장이나 조경, 볼라드가 아닌 백색의 외벽 마감을 통해 생활의 공간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하여 심리적으로 일탈행위에 대한 무형의 죄책감이 들 수 있도록 색상과 공간을 구분하였으며, 2층의 경우 사거리에서 주는 상징성을 고려하여 주택가의 톤에 순응하도록 계획하였다.

Program Diagram 1~3

공간 구성

1층은 근린생활시설, 지하 1층과 2층은 단독주택으로 쓰이고 있던 기존 건축물이 다양한 평면 대안들을 거쳐 사무실과 직원들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되었다. 내부적으로는 기존 양평 사무실에서 부족했던 탕비 및 회의공간 등을 보완하고, 건축 디자인 연구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형 및 목업 제작실, 쇼룸 등을 계획하였다.

건물 야경

Interior

우선 지하층의 경우 연구소와 스튜디오, 설계모형과 목업 작업 등을 위한 창고 공간이 꾸려져 있고, 1층은 사무공간으로 2개의 팀이 일하는 공간과 회의를 위한 회의실로 구성되었다. 기존에 주택으로 쓰이던 2층은 주택과 동일한 구성을 통해 예비 건축주분들에게 공간감과 각각의 마감, 재료 요소 확인을 도와줄 수 있는 쇼룸 공간으로 활용하면서, 평상시에는 공부방, 수면방, 주방 등 직원들의 편의와 피로 휴식을 위한 복지 공간이 된다.

평면도

라움건축사사무소의 다른 프로젝트

더 라움 서울
라움건축사사무소
라움건축사사무소
상가건물 · 2층
더 라움 서울_동대문구 휘경동 사옥 (2021)
상가건물 · 4층
대로변에 차와 보행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건물을 전면부에 위치시키고 차량의 진입도로가 대지와 제일 가깝게 하여 주차장을 건물 뒤편에 배치하였습니다. 건물은 근린생활시설의 용도로 사용하여 업무시설과 상가의 동선을 분리하는 계획이 필요하여 2층으로 바로 진입가능한 동선을 테라스쪽으로 배치하였습니다. 대지여건 상 조망이 좋은 방향은 용문산 뷰가 가능한 북동향 이었습니다. 테라스를 각 층별로 길게 배치하여 조망 시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디자인 전략을 세웠습니다.디자인의 메인 전략인 테라스의 장방향 배치를 위해 건축이 가능한 매스에서 테라스에 필요한 공간의 크기만큼 덜어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건물의 주변을 두르는 띠 형태의 테라스 디자인이 되었고 내부는 외부에서 인지하기 쉽고 개방감을 주는 커튼월을 사용하였습니다. 건축가능한 행태의 매스에서 테라스를 위한 공간을 덜어내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건물의 디자인 주안점이라 생각되어 건물의 이름을 ‘젠가’로 짓게 되었습니다.
단독·전원주택 · 2층
건축주 부부는 기존 아파트에서 거주하시고 부모님은 현재 필지의 낡은 주택에서 거주하고 계셨고, 주말마다 온가족이 모여 함께 생활하고 계셨다.오래된 주택이다보니 불편함이 많아  장인, 장모, 부부, 그리고 부부 슬하의 두 자녀 모두가 함께 살 수 있는 캥거루 주택을 짓기로 결심하였다.현재는 2세대이지만 자녀가 성장하게 되면 3세대가 거주하는 주택이 되기 때문에 각각의 세대별로 공간을 배치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부모님의 생활패턴은 주로 거실과 마당에서 주 생활을 하시고 두 부모님께서 각자 방을 사용하길 선호하여 부모님의 공간을 1층과 2층으로 한 동으로 구성, 건축주 부부의 경우 부모님과 자녀들과의 소통을 위해 공간의 메인위치에 두고 프라이버시를 위해 1층에 거실, 주방과 가깝지만 계단과 다용도실을 통해 공간을 구분하도록 하였다. 자녀방의 경우 부부와 같은 동이지만 계단을 통한 수직분리를 통해 자녀방의 독립성을 주도록 하였고, 아파트에서 가질 수 없는 천정과 다락, 테라스를 공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크게는 부부와 부모님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공용공간을 구성을 요청하였고, 두 자녀의 통학에 대한 불편함을 감수할 수 있도록 단독주택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였으면 하였다.
단독·전원주택 · 2층
'ING 하우스'단독주택 거주에 대한 로망을 가지고 있던 건축주는 마당과 가족들이 함께할 AV공간을 꿈꾸었다. 하지만 연고지가 아닌 지역으로 이사하는 부분에 대한 부담이 있어서 실천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자녀들이 성인이 되고 주거 이전에 대한 걱정이 줄어들게 되어 늦기전에 온 가족이 함께모여 즐거운 주택의 경험을 갖는데 가족 구성원분들이 동의하셔서 함께 사는 집을 짓게 되었다.'ING 하우스' 집의 이름에 대한 에피소드는,건물을 사용하면서 공간을 증축하거나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 건물이 변해갈 수 있다는 의미의 “ING”를 붙인 ING하우스가 되었다.건축주 부부는, 처음 집을 짓는 부분이라 단계적으로 하나씩 고민해보는 과정을 공부하면서 건축사사무소와 주택 전문 건설사 등을 많이 방문해보고 상담하였고,고민 끝에 설계과정이 장점인 라움건축사사무소를 택하게 된 것이다.건축주의 요구 사항은, 자녀들이 정해진 면적이내에서 생활패턴에 따라 테라스와 붙박이장, 창호 등을선택 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실과 테라스, 마당의 장점을 살릴수 있는 주택 설계안을 요청하였다.두 자녀의 방은 가족실과 드레스룸, 화장실을 사이에 두고 단부에 배치했는데, 각 방을 사용할 자녀의 취향에 따라 테라스 공간과 발코니 확장 공간을 적용했다. 이에 더해 부부가 집을 지으려는 가장 큰 목적 중 하나였던 AV룸의 경우 가족 간의 대화와 취미 공유,  자녀 친구들의 파티룸 등 가변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2개의 테라스를 끼고 있어 봄, 가을에 즐기는 루프탑 파티의 핵심 공간이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