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전원주택

'Y' HOUSING

  서울에서 근거리에 있어 대도시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으면서, 다른 소도시들과는 사뭇 다른 자연의 풍요로움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는 양평. 멀리 남한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작은 구릉지 끝자락에 작은 모던 주택을 설계하였다. 대지의 형상을 따라 건물을 배치하여 북쪽 후면으로부터 건물로 접근하고 남쪽으로 너른마당을 품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1, 2층 두개의 볼륨이 'Y'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필로티와 넓은 테라스를 만들어내어 안과 밖이 서로 교차하고 자연의 풍경들이 실내로 충분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용도 단독·전원주택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설계스튜디오메조 건축사사무소
시공N/A
인테리어N/A
사진N/A
설계 기간6개월
시공 기간18개월
대지면적420.00㎡ (127.08평)
건축면적135.53㎡ (41.01평)
연면적181.10㎡ (54.80평)
층수지상 2층
가구수1가구
준공년도2015년

Site location

도시민들에게 하나의 로망처럼 그려지는 전원에서의 여유로운 삶.

  우리는 그곳에서 푸른 잔디와 너른 마당, 식탁을 풍요롭게 해줄 작은 텃밭, 이른 아침 잠을 깨우는 산새들의 지저귐을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수십 년 넘게 도시에서의 삶에 익숙해진 이들은 전원의 한가로운 풍경과 더불어 도시가 주는 편리함 또한 쉽게 포기할 수 없다. 서울에서 근거리에 있어 대도시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다른 소도시들과는 사뭇 다른 자연의 풍요로움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는 곳. 양평은 도시민들이 큰 거부감 없이 첫 번째 전원라이프를 실현할 수 있는 곳이다.도시민들에게 하나의 로망처럼 그려지는 전원에서의 여유로운 삶.

Mass Study

  대지는 남한강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 좋은 단지의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 작은 산을 등지고 남쪽으로는 멀리 남한강을 내려다 볼 수 있는 매력적인 곳이다. 부정형의 필지는 건축가에게 하나의 제약조건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건물의 바른 자리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대지의 형상에 따라 북쪽 후면으로부터의 접근이 자연스럽게 정리되고 남쪽으로 너른 마당을 품을 수 있도록 배치의 방향이 정해졌다.

전경

  모던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부부는 서울을 주생활권으로 유지하면서 주말주택으로 활용하다가 이후에 전원생활을 하게 될 부담 없는 규모의 주택을 원하였다.적정한 규모의 주택에 전원의 풍경을 충분히 담아내면서도 사적 공간의 프라이버시를 충분히 고려해 줄 것. 짧지만 군더더기 없이 가장 필요한 부분을 명확히 하는 요구조건이다.


1층 매스의 상부는 2층에서 자연스럽게 밖으로 나와 이용할 수 있는 넓은 테라스가 되었다. 2층 복도에서 밖으로 나오면 남한강으로의 확 트인 시야가 펼쳐진다. 이곳은 부부가 이른새벽 남한강의 물안개를 바라보며 하루 아침을 시작하거나 늦은 저녁 일몰을 보며 차 한잔의 여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다. 2층 매스의 하부는 1층 거실이나 식당에서 연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외부공간이 되었다. 지붕과 기둥에 의해 둘러싸인 이 곳은 늦은 여름 자녀들과 조촐한 바비큐 파티를 하거나 어린 아이에게 해먹이나 그네를 매달아 줄 목적으로 특별히 설계자가 고안한 공간이다. 

실내

선형의 복도를 따라 각각의 실들이 연결되는 구성은 각 실들이 적절한 규모로 독립성을 가지고 간결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선형의 복도는 오로지 넓어 보이는 아파트를 지향하는 공동주택에서는 쉽게 경험할 수 없는 공간의 깊이감을 선사하며 1층과 2층의 두 복도는 각각 앞마당과 남한강으로의 전망이 열려 있어 이동하는 순간 순간 시시각각 변하는 자연의 변화들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실내 마감은 지나치게 트렌디한 스타일을 지양하고 따뜻하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강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재와 블록 등은 재료의 물성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하고 색채를 덧입히거나 불필요한 장식적 요소들은 배제하였다. 식당의 우드루버, 거실천정의 우드타공캐노피, 현관의 블록파티션 등 공간을 한정 짓거나 공간감에 적절한 변화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만 최소한으로 기본 인테리어마감을 추가하였다.

공간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앞마당의 잔디, 오래된 소나무, 남한강의 풍경, 뒷동산의 풍광들이다. 적절한 크기로 고심하여 배치한 창호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풍경들이 실내를 가득 채워줄 것이다. 양평 ‘Y’ 주택에서 자연은 주택의 안과 밖을 완성하는 마지막 디자인 요소이며 가족의 라이프 스타일에 전원의 감성을 더하는 선물이다.

스튜디오메조의 다른 프로젝트

'Y' HOUSING
스튜디오메조 건축사사무소
스튜디오메조 건축사사무소
단독·전원주택 · 2층
  서울에서 근거리에 있어 대도시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으면서, 다른 소도시들과는 사뭇 다른 자연의 풍요로움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는 양평. 멀리 남한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작은 구릉지 끝자락에 작은 모던 주택을 설계하였다. 대지의 형상을 따라 건물을 배치하여 북쪽 후면으로부터 건물로 접근하고 남쪽으로 너른마당을 품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1, 2층 두개의 볼륨이 'Y'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필로티와 넓은 테라스를 만들어내어 안과 밖이 서로 교차하고 자연의 풍경들이 실내로 충분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세대·다가구주택 · 4층
  은평구 신사동. 강남의 대표적 번화가인 신사동과 달리 은평구 신사동은 오래된 주택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다. 서울 구도심의 여느 주택가와 비슷한 모습이다. 작은 규모의 단독주택들이 조금씩 밀려나고 3~4층 남짓의 다가구, 다세대 주택들이 하나 둘 들어서고 있다. 주접근도로의 건너편 블록만 해도 역세권을 중심으로 재개발, 재건축, 뉴타운, 모아타운 등 이름을 바꿔가며 각종 정비사업의 움직임이 오래 전부터 있어왔지만 해당대지가 위치한 지역은 이런 흐름에서 조금은 빗겨나 있는 경사진 주택가이다.    SH는 수년째 빈집활용사업으로 방치되어 있는 공가를 매입하여 1인가구를 위한 다가구, 다세대 주택을 신축하는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경제적 논리를 앞세운 각종 개발사업과 노후화되어 경제적 가치를 잃어버린 낡은 주택이 공존하는 지역, 혼인관계로 맺어진 혈연중심의 가족에서 급증하는 1인 가구로의 가족 구성의 변화. 혼란의 경계, 그 어디쯤에서 간극을 메우는 작업들은 작지만 간과해서는 안 될 또 다른 변화의 일부이다.  
상가건물 · 2층
상계동 우리행성자발적 공동체의 완성_ 복지관에 모인 장애인들은 기본적인 교육을 받은 후, 우리행성에서 제빵 및 음료 제조기술을 직접 익히고 이를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게 된다. 일방향적 복지가 아닌 지속적으로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것이 우리행성이 추구하는 행복한 성장이다. 날씨가 적당할 때면 동네사람들이 야외카페에 앉아 소소한 일상의 행복을 이야기 할 수 있기를 바란다. 공동체문화와 동네문화가 사라져가는 시대에 우리행성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없이 이웃과 함께 소통하고 성장할 수 있는 자발적 공동체가 되길 기대한다. 
다세대·다가구주택 · 5층
양재동 팝업하우스   이번 프로젝트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했다. 첫째는 대규모 주택단지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편의성 및 안정성을 최대한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고, 둘째는 공동체 활동을 유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담아낼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는 것이다. 대형 집합주택 단지가 가지고 있는 모든 편의 시설의 장점을 다 넣을 수는 없지만 주거로 접근하는 출입구의 보안과 무인 택배 시스템, 1층 로비에서 대기하고 담소를 나눌 수 있는 공간, 세대 내에 수용 할 수 없는 아웃도어 용품 의 보관소 등을 계획하였다. 공동체 활동을 유인하기 위한 공간으로는 2층 커뮤니티룸과 테라스를 계획하여 자신들의 집이 아니어도 외부 손님 혹은 주민들이 마을 어귀의 평상에서처럼 담소를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옥상정원을 계획하여 가벼운 운동과 바비큐 파티 등을 할 수 있게 하여 최대한 직접적인 만남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 작은 시도들은 하나의 건물을 지으면서 도시적 스케일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는 없지만 건축가의 개입으로 만들어진 작은 건물을 계기로 도시의 자발적 변화가 이뤄 질수 있으며 공동체적인 삶을 가꿔 나갈 수 있는 시작점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작은 시도를 통해 도시적 스케일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건축가의 개입으로 만들어진 작은 건물들을 계기로 도시의 자발적 변화가 이뤄질 수 있으며 공동체적인 삶을 가꿔 나갈 수 있는 시작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