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을 가장 중요시 하는 임대형 상가주택들은 대부분 법적 제한사항과 각종 지침으로 대부분 비슷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요즘 생겨나는 신도시 상가주택들의 모습이다.그 규제로 인해 비슷한 건축을 만들어내는 건축들은 스스로 Identity를 찾아야 한다.이러한 현실 속에서 거주성과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우리는 ‘Simple’이라는 언어로 접근하였고, 평면 역시 단순한 동선과 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였으며, 허투루 만들어진 공간 하나 없게 모든 공간에 빛과 바람이 잘 들도록 계획하였다. 옆 필지의 건물조차 어떻게 생겼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건물의 설계가 진행되기 때문에 오히려 도시가 아닌 건물에 집중하여 스스로 완결되는 디자인을 추구했다. 이는 맨 처음 생각한 Identity가 있는 집으로 결국 양질의 거주성과 수익성과 연결되었으면 하는 바람이었다. 대지는 아직도 한창 개발 중인 평택 고덕신도시의 단독주택용지이다.2면(동,서)이 도로와 면해있는 대지여서 상가 출입구와 다가구주택 출입구를 다르게 설정하여 목적에 따라 동선이 분리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었다. 건축주가 직접 운영할 상가는 높은 층고를 원했지만 정남일조사선을 제대로 받은데다 동서로 1.2m차의 경사지여서 층고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에 2층에 임대주거 1세대만 두어 나머지부분은 높은 층고를 가질 수 있게 하였고 주차대수를 줄여 상가면적을 확보하고 2층에 공용창고까지 만들 수 있었다. 임대세대들의 방과 화장실의 개수도 중요했다. 상당수가 공간의 질보다는 방의 개수, 화장실 개수에 연연하기 때문에 공간이 가져야 하는 최소한의 기능과 크기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우린 지역 임차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테라스가 있는 화장실이 두 개인 투룸구조를 만들었다. 정남일조사선의 법적제한으로 인해 4층의 주인세대는 다소 좁은 면적을 가질 수 밖에 없었지만 덕분에 남향에 넓은 테라스를 가실 수 있었으며, 테라스와 연계하여 가족이 모이는 동적 영역인 거실과 다락 부분을 시각적으로 연결하여 보다 많은 가족의 소통과 다양한 이벤트가 이루어지고 픙성한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반대로 사적 영역인 침실들은 철저하게 휴식의 기능을 갖는 공간으로 적정 천장고와 조닝으로 계획하였다. 이러한 공간적 변화가 있는 집에 살며 의뢰인은 아파트가 아닌 단독주택과 같은 느낌을 받고, 어린 두 아이들은 밝은 성격의 창의성을 갖고 자랐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 프로젝트는 도심 속 자연녹지지역에 위치한 비정형 대지 위에, 화성시의 심볼을 모티브로 한 독창적인 형태의 3층 건물입니다. 1층과 2층에는 베이커리 카페, 3층에는 주거 공간을 구성하여 건축주의 요구를 반영했으며, 내외부 공간의 조화를 통해 자연과 인간이 함께하는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유리와 콘크리트, 우드를 활용한 공간 설계로 방문객들에게 도심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요즘 많이들 하는 우스갯소리 중 조물주 위에 있다는 건물주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 프로젝트의 클라이언트 또한 임대수익 창출을 바라보며 건물주가 되고자 했다. 대지는 한창 개발 중인 동탄호수공원이 있는 동탄2지구의 단독주택용지이다. 교육청 현상설계에 당선되어 최근 개원한 빛여울유치원 때문에 근처에 자주 다녀 잘 알고 있는 곳이었다. 택지개발지구 안에 위치한 대지는 교차로에 동측으로 어린이공원에 면하여 길에서 눈에 띄기 쉬운 위치였고, 북쪽 일부에 다른 건물이 있어 정북일조를 받는 땅이었다. 도로 측에서 가시성이 우수해 상업적 가치는 높았지만, 양측 도로로부터 주거 공간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전략이 필요했다. 건축주는 대지 모양을 살려 도로에 최대한 넓게 면하며 단순하면서도 눈에 띄는 외관을 바랐고, 외장은 꼭 적벽돌이었으면 했다.
수익성을 가장 중요시 하는 임대형 상가주택들은 대부분 법적 제한사항과 각종 지침으로 대부분 비슷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요즘 생겨나는 신도시 상가주택들의 모습이다.그 규제로 인해 비슷한 건축을 만들어내는 건축들은 스스로 Identity를 찾아야 한다.이러한 현실 속에서 거주성과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우리는 ‘Simple’이라는 언어로 접근하였고, 평면 역시 단순한 동선과 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였으며, 허투루 만들어진 공간 하나 없게 모든 공간에 빛과 바람이 잘 들도록 계획하였다. 옆 필지의 건물조차 어떻게 생겼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건물의 설계가 진행되기 때문에 오히려 도시가 아닌 건물에 집중하여 스스로 완결되는 디자인을 추구했다. 이는 맨 처음 생각한 Identity가 있는 집으로 결국 양질의 거주성과 수익성과 연결되었으면 하는 바람이었다. 대지는 아직도 한창 개발 중인 평택 고덕신도시의 단독주택용지이다.2면(동,서)이 도로와 면해있는 대지여서 상가 출입구와 다가구주택 출입구를 다르게 설정하여 목적에 따라 동선이 분리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었다. 건축주가 직접 운영할 상가는 높은 층고를 원했지만 정남일조사선을 제대로 받은데다 동서로 1.2m차의 경사지여서 층고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에 2층에 임대주거 1세대만 두어 나머지부분은 높은 층고를 가질 수 있게 하였고 주차대수를 줄여 상가면적을 확보하고 2층에 공용창고까지 만들 수 있었다. 임대세대들의 방과 화장실의 개수도 중요했다. 상당수가 공간의 질보다는 방의 개수, 화장실 개수에 연연하기 때문에 공간이 가져야 하는 최소한의 기능과 크기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우린 지역 임차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테라스가 있는 화장실이 두 개인 투룸구조를 만들었다. 정남일조사선의 법적제한으로 인해 4층의 주인세대는 다소 좁은 면적을 가질 수 밖에 없었지만 덕분에 남향에 넓은 테라스를 가실 수 있었으며, 테라스와 연계하여 가족이 모이는 동적 영역인 거실과 다락 부분을 시각적으로 연결하여 보다 많은 가족의 소통과 다양한 이벤트가 이루어지고 픙성한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반대로 사적 영역인 침실들은 철저하게 휴식의 기능을 갖는 공간으로 적정 천장고와 조닝으로 계획하였다. 이러한 공간적 변화가 있는 집에 살며 의뢰인은 아파트가 아닌 단독주택과 같은 느낌을 받고, 어린 두 아이들은 밝은 성격의 창의성을 갖고 자랐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