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전원주택

송곡전가(松谷傳家)

정읍주택은 5대째 내려오던 오래된 농가를 헐고 같은 자리에 필요한 공간의 재구성과 2층 손님방을 추가하는 것이었다. 가능한 노부모의 불편함이나 관리의 어려움이 적도록 계획되었으며, 새집에 쉽게 적응하실 수 있도록  계획의 주안점을 두었다.


신축주택은 기존 주택에서의 삶의 방식, 생활습관, 동선 등을 최대한 새로운 집에 투사하여 낯설음을 완충하고, 가급적 적응을 쉽게 하실 수 있도록 배려하고, 오래 살아온 집처럼 편안하게 느끼실 수 있도록 고민을 한 집이다.

 

집의 형태와 재료는 마을에서 바라볼 때 새집의 이질감을 최소화하려 했고, 지붕의 물매 또한 이웃에 부담을 적게 주도록 고려하였다.

 

새집은 골목과 이웃에 열려있는 태도를 가지며 새로운 소통을 기대하는 집이기도 하다. 기존 담장과 대문을 없애고 얻은 진입마당은  골목의 시각적 개방감과 함께 열린 집의 공간적 체험을 마을과 공유하는 것이고, 노부모의 삶이 마을이웃과 좀더 친밀해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농촌에서의 일상은 외부와 내부를 빈번하게 드나드는 일이 많기에 진입방법은 주현관 이외에도 밭일을 끝내고 바깥 수돗가를 통해 들어가거나 대청마루로 바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옛집에서 아버님이 늘 머무시던 긴 툇마루는 새집에서는 좀 더 반듯하고 넓어진 대청마루로 개선되었고, 대청마루덕에 거실은 마당쪽으로 공간적 확장감을 가진다. 대청마루는 주로 아버님이 책을 읽으시거나, 햇볕을 쬐면서 잠깐 낮잠을 즐기실 수도 있고 이웃이 오면 제일 먼저 손님을 반길 수 있는 사랑채의 누마루 같은 곳이다.

 

증조부의 호를 딴 송곡전가라는 집의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자손들의 마음이 소나무 향기처럼 다음 세대로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고, 마을의 유서 깊은 집으로서 이웃과 삶의 풍경을 공유하는 소박하고 품격있는 집으로 기억되길 바래본다.  

전북도 정읍시 산외면
용도 단독·전원주택
구조 경량목구조
설계모프건축사사무소
시공티씨엠종합건설(주)
인테리어N/A
사진N/A
설계 기간6개월
시공 기간4개월
대지면적389.00㎡ (117.70평)
건축면적141.49㎡ (42.81평)
연면적144.19㎡ (43.63평)
층수지상 2층
가구수1가구
준공년도2014년

Exterior

모프 건축사사무소의 다른 프로젝트

송곡전가(松谷傳家)
모프건축사사무소
모프건축사사무소
단독·전원주택 · 2층
정읍주택은 5대째 내려오던 오래된 농가를 헐고 같은 자리에 필요한 공간의 재구성과 2층 손님방을 추가하는 것이었다. 가능한 노부모의 불편함이나 관리의 어려움이 적도록 계획되었으며, 새집에 쉽게 적응하실 수 있도록  계획의 주안점을 두었다.신축주택은 기존 주택에서의 삶의 방식, 생활습관, 동선 등을 최대한 새로운 집에 투사하여 낯설음을 완충하고, 가급적 적응을 쉽게 하실 수 있도록 배려하고, 오래 살아온 집처럼 편안하게 느끼실 수 있도록 고민을 한 집이다.   집의 형태와 재료는 마을에서 바라볼 때 새집의 이질감을 최소화하려 했고, 지붕의 물매 또한 이웃에 부담을 적게 주도록 고려하였다.   새집은 골목과 이웃에 열려있는 태도를 가지며 새로운 소통을 기대하는 집이기도 하다. 기존 담장과 대문을 없애고 얻은 진입마당은  골목의 시각적 개방감과 함께 열린 집의 공간적 체험을 마을과 공유하는 것이고, 노부모의 삶이 마을이웃과 좀더 친밀해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농촌에서의 일상은 외부와 내부를 빈번하게 드나드는 일이 많기에 진입방법은 주현관 이외에도 밭일을 끝내고 바깥 수돗가를 통해 들어가거나 대청마루로 바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옛집에서 아버님이 늘 머무시던 긴 툇마루는 새집에서는 좀 더 반듯하고 넓어진 대청마루로 개선되었고, 대청마루덕에 거실은 마당쪽으로 공간적 확장감을 가진다. 대청마루는 주로 아버님이 책을 읽으시거나, 햇볕을 쬐면서 잠깐 낮잠을 즐기실 수도 있고 이웃이 오면 제일 먼저 손님을 반길 수 있는 사랑채의 누마루 같은 곳이다.   증조부의 호를 딴 송곡전가라는 집의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자손들의 마음이 소나무 향기처럼 다음 세대로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고, 마을의 유서 깊은 집으로서 이웃과 삶의 풍경을 공유하는 소박하고 품격있는 집으로 기억되길 바래본다.  
단독·전원주택 · 2층
건축주는 도시생활을 정리하고 새롭게 전원생활을 시작하기 위해 양평 서종면의 경사진 임야를 개발업체로부터 매입하게 되었고, 설계를 위해 현장을 방문하던 즈음엔 뒷집의 진입로 공사와 토목옹벽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었다.임야의 경사가 상당하다 보니 뒷집 옹벽이 주게 될 위압감은 쉽게 예상되었고, 집터의 레벨을 높이는 것 역시 좋은 방법이 되지 못해, 대지조성 레벨을 두 개의 단으로 나누어 단차를 두고 높이에 대한 부담감과 옹벽의 부담감을 줄이려고 했다.   주택진입은 전면 도로의 가장 높은 레벨에서 현관까지 최소의 계단을 통하고, 경사진 대지는 크게 1층 아랫마당 영역과 2층 손님방 윗마당 영역으로 나누어 레벨차가 있는 정원을조성하였다.1층의 남향 마당은 거실에서 바라보는 정원과 식당에서 나갈수 있는 알코브 데크, 서재(취미실) 앞의 정원으로 나눠져, 내부공간과의 관계에 따라 레벨과 성격을 달리하도록 계획되었다.   건축주는 거실보다는 주방과 식당공간이 주생활 공간으로서 주택에서 중심자리에 배치되길 희망했다. 식당테이블이 있는 공간이 사실상 이 집의 거실과 같은 공간으로 외부손님을 접대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식당에서 쉽게 드나들 수 있는 서측마당과 데크는 손님들과 가든파티를 기대하는 공간이다.   거실은 건축주 개인의 사적인 방과 같은 느낌으로 식당과는 다르게 별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적절한 시선차단과 단차를 통해 분리된 느낌을 주었다.   1층의 취미실은 2층으로 가는 계단 옆에 위치하고 높아진 전면마당의 단차 만큼 내부도 주방보다 두단이 높다. 취미실은 때로는 손님방이 되겠지만 주로 건축주가 장구를 치게 될 방이다. 이 방은 좌식생활을 염두해 창의 높이가 낮게 위치해 있다.   계단실은 수직 동선의 기능뿐 아니라  집전체에 밝은 흐름을 유지해 주는 공간이다. 높은 천정고와  채광용 천창의 빛을 받으며 넉넉한 폭의 계단에 앉아 책을 읽거나, 손님들도 걸터앉아 얘기를 나눌 수 있는 있도록 계획되었다. 내외부의 여러 단차들은 내외부공간에 땅의 흐름과 생기를 부여해 자연과의 접촉면에서 일어나는 일상의 경험들에 조금씩 다르게 변주되는 요소가 개입되길 기대해 본다.
단독·전원주택 · 2층
완만한 모악산 능선이 물가로 스며드는 지점, 구이저수지의 은빛 수면이 하루 내내 시시각각 표정을 바꾸는 풍경 속에 ‘모악호수집’이 자리한다. 대지는 두 면이 도로에 접한 코너 필지로, 남쪽엔 저수지를 관통하는 시선이, 북쪽엔 산자락이 겹겹으로 포개지는 전망이 열려 있다. 게다가 경관녹지가 떡하니 붙어 있어 실제 면적(147 평)보다 훨씬 여유로운 공간감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