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건물

S BUILDING

빛 흐르네, 청고의 터널을 지나. 에스빌딩

대전 유성구 학하동
용도 상가건물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도하
시공리한종합건설(주)
인테리어N/A
사진김한빛
설계 기간6개월
시공 기간11개월
대지면적374.80㎡ (113.40평)
건축면적224.48㎡ (67.92평)
연면적999.62㎡ (302.46평)
층수지상 5층
가구수1가구
준공년도2020년
단정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청고벽돌의 진면목인 '에스빌딩'은 대전 신도시 학하지구에 위치한 근린생활시설이다. 

대지는 3면이 도롤 둘러싸여있고 남서측에는 인접 대지가 위치하여있다. 근생으로 사용될 건축물은 용도의 특수성을 고려, 큰 도로에 진입하도록 하였고, 카페 운영을 위해 마련된 1층 공간은 넓은 보행자도로에서도 진입할 수 있도록 연계 배치하였다. 근생 용도상 실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인접 대지와 맞붙은 남서측에 코어를 두었다. 시야가 열려있는 남동측 도로변 쪽으로 통장을 두어 향배치의 난점을 해소시켰다.

수직으로 곧게 뻗은 사각형의 심플한 매스는 자칫 답답하고 무거운 느낌을 줄 수 있기에 큰 개구부와 통창을 통해 수평으로 분절시켰다. 내부에서 보면 각 층의 영역에서 조망과 채광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열린 공간으로 계획한 것이다. 

건축주는 동물약품회사 사무실과 카페를 함께 운영할 수 있는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며 임팩트 있는 외형의 사옥 건축물을 원했다. 심플하고 간결한 컨셉으로 접근한 입면 계획에서 가장 고심해야 하는 부분은 어쩌면 재료 선택일 것이다

 지루함을 피하려고 다양한 재료를 선택하다 보면, 난잡한 느낌을 받는 정면을 마주할 때가 있기 때문이다. 건물 전면부에 시원하게 뚫린 통창의 매력 어필을 위해 오히려 하나의 통일된 재료 선택이 나을 듯 했다. 

네모반듯한 형체를 보다 부드럽게 느끼게 할 수 있을까 고심하다 선택한 재료는 고벽돌이다.  새로운 신도시 시가지에 깔끔하고 반듯한 새 건물들을 간혹 냉소적으로 느껴질 때가 있다. 인위적인 직선만이 가득한 건축물의 재료의 끝선에서 부서지고 둥그러진 세월을 안고 있길 바랐다. 특유의 무게감이 매력적인 고벽돌은 다소 날카로운 선들을 만나 보는 이에게 하여금 안정감을 선사한다. 딥브라운톤 칼라유리와 조화를 위해 그레이톤의 청고벽돌이 필요했기에 사실 현장에서는 수입된 고벽돌에 섞여있는 붉은 컬러의 고벽돌을 골라내는 수고로움도 있었다고 한다. 그 외 벽돌에 대한 고민을 위해 같은 지역은 물론 멀리 타지역까지도 가서 답사를 하는 등 건축주의 남다른 애정과 건축설계과정 중 서로간 긴밀한 소통이 재료 선정에 큰 역할을 기여했다고 생각한다. 

영롱쌓기

원톤의 재료에서 올 수 있는 무료함을 벗어나고자 시각적 다채로움을 꾀하였는데, 이는 고벽돌의 '영롱쌓기'를 이용하여 보완하였다. 서로 어슷하게 쌓인 벽돌들의 틈은 재미있는 디자인의 요소로 인지됨과 동시에 그 틈새로 채광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되었다.

건물 내부에 서 있을 때, 벽돌 사이로 투과되는 빛의 흐름을 통해 시시때때로 변하는 그림자와 빛줄기로 계절에 따라 시간에 따라 또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설계하였다.

내부 공간이 아닌 외부 1층 필로티 주차장의 외벽에도 영롱쌓기로 벽돌의 쌓기 방식을 달리하여 프라이버시 확보와 심미적인 효과를 얻었다. 센서등이 작동할 때마다 측벽의 구멍들에서 나오는 광원이 건물의 얼굴을 변화시켜주는 게 꽤나 흥미로운 감상을 선사하기도 한다.

벽돌 사이로 빛이 투과된 내부

필로티 주차장 외벽

주간엔 밖에서 흘러들어오는 햇빛이 그림자를 드리우며 내부를 아름답게 하고, 야간엔 안에서 흘러나간 조명 빛이 어둠 속 거리를 밝힌다. 

우리는 내심 기대한다. 청고의 터널을 지나 반대편에 흐르는 빛은 어쩌면 건축물에 처음 들어온 이용자에게, 또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차가운 신도시에 전하는 따뜻한 인사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평면도

Interior_1F 카페

Interior_사무실

종합건축사사무소 도하의 다른 프로젝트

S BUILDING
종합건축사사무소 도하
종합건축사사무소 도하
상가건물 · 5층
빛 흐르네, 청고의 터널을 지나. 에스빌딩
다세대·다가구주택 · 4층
우리가 건축하기 전의 주변환경은 오래된 마을의 이미지가 강했다. 최근 큐브하우스 바로 앞으로 새 도로가 생겼고, 그 도로가 만든 마을의 축 시작에 큐브하우스가 있다. 현 프로젝트는 우리가 만든 큐브가 가지고 있는 새생명의 활력으로 인해 우리 땅을 중심으로 다시 새롭게 살아나는 도시재생과 지역활성화의 시발점이 되기를 바라는 염원에서 시작되었다.   깍둑썰기한 것 같은 정육각형(CUBE)들을 매스에 붙이는 형식으로 건축물의 형태를 구성하였다. 들쭉날쭉한 각 주거공간 뿐 아니라 돌출형 개별테라스 구성을 통해 개성있는 디자인을 구현하였다. 테라스는 투시형 난간을 설치한 개방형 테라스와 벽돌 영롱쌓기를 통한 반개방형 테라스로 다채롭게 구성하여 입면에 재미를 주어 거리를 걷는 사람들로 하여금 이 공간에 대해 궁금증을 유발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단독·전원주택 · 2층
파노라마 하우스 - 도시 속 고요한 낙원   세종의 한 주택단지에 들어선 야외 높은 곳에서 사방을 전망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는 파노라마 하우스, 건물 전경을 바라보면 금방이라도 하늘과 닿을 것 같은 지평선이 그려진다. 주변 환경이 워낙 좋은지라 사실 처음 설계시에는 건물이 바라보는 전경에 집중하여 시작했지만, 설계부터 시공까지 완성이 되었을 때 파노라마 하우스는 멀리서 바라본 건축물 자체가 누군가에게 전경이 되어 있음을 이내 직감했다.건물에 줄 맞춰 감싸고 있는 화이트 칼라의 롱브릭 타일은 둘러싸인 자연과 대조되는 깔끔하고도 안락한 쉘터의 느낌을 주며, 멀리서도 단연 눈에 띄는 건축물을 만드는데 일조하였다. 외벽의 평행한 가로선이 현대적이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주어 주택의 미적 가치를 한층 높여준다. 크게 매스를 보면 ‘ㄷ’자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로써 인접 대지와 등을 지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동시에 남쪽에 중정을 두어 채광을 확보하고 공원을 조망하는 여러 장점을 지니게 되었다.주변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아름다운 마당이 보이는 다이닝룸과 거실은 가족이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중심적인 공간으로 자리하고 있다. 외부 마당은 바비큐장이 되기도 하고, 야외카페가 되기도 하기 때문에 [거실-다이닝룸-마당-외부테라스] 의 순환동선이 되도록 설계하였다.외관 뿐 아니라 내,외부 공간의 구성 방식에서도 파노라마 같은 공간의 연속성을 느낄 수 있는데, 계단과 통로들의 이음선에 중간중간 테라스나 쉼터 같은 공용공간을 구성함으로써 독립공간과의 유기적인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1층 마당에서부터 2층, 그리고 옥상까지 파노라마처럼 연결된 외부계단이 보통의 주택에서는 없는 특징인데, 계단의 중간중간에 생긴 계단참들이 각각의 외부공간 또 내부공간으로 이어진다는 부분이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이다.   도로변에 맞닿아 있는 외벽의 가로로 긴 프레임은 내부에서는 외부 풍경, 외부에서는 궁금증을 자아내는 역할을 하는 이중적인 그림 액자가 되어 시선이 머물게 한다. 마당 또는 도로변, 공원 등 건축물을 보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얼굴을 가지고 있는 우리 건축물의 영감이 새롭게 탄생하는 신도시 주택가에 하나둘씩 생겨나는 역사의 파노라마가 되어 이 지역 주민들을 반겨주길 기대해 본다.  
상가건물 · 5층
토목을 기반으로 한 사업체를 운영 중인 건축주께서 기업사옥 건물로 웅장하고 견고한 이미지를 원하셨다.Soil & Rock 을 뜻한다는 이름의 기업의 이름이 참 잘 어울리는 파사드를 위해 많은 고민을 했다.처음 바위가 생성될 때는 각진 모양에서 풍파에 따라 패이고 깎여 결국 모양에 세월을 담는다고 한다. 대지 조건과 주변 건물의 맥락에 따라 각진 사각형 모양의 매스 형태를 시작으로 계획을 진행하였다. 외관 상으로 보았을 때는 하나의 매스로 보이지만 사실 건물은 세 덩어리로 분리되어있다. 이는 효율적인 공간을 구획하기 위함인 동시에 각기 다른 공간을 하나로 어우러지게 하는 연출인 것이다. 세 덩어리는 크게 보이드 스페이스와 솔리드 스페이스로 나뉘고, 솔리드 스페이스 안에서 코어와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성에 따라 나뉘어진다면, 가운데의 근린생활시설과 단독주택이 있는 주 매스를 기준으로 양 옆으로 남측에 발코니의 공간, 북측에 코어의 공간을 가진 매스로 이루어진다   입면의 구성 또한 세 구역이 가지고 있는 성격을 반영하였다. 근린생활시설로 사용되는 가운데의 주 매스는 커튼월을 통해 정면성을 드러내고 트인 느낌을 더하였다. 벽돌 포인트 또한 정면성을 강조하는 요소가 된다. 주 매스 옆에 코어를 배치하여 동선을 최소화하였고 외부에서도 건물의 이용자가 출입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안으로 패인 긴 수직선을 부각시켰다.    남측의 채광과 조망을 위해 오픈 해 놓은 보이드 공간으로 자유롭게 내·외부를 이동하며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구현하였다. 그리고 외부에서의 시선 노출을 차단 시키기 위해 루버를 설치하여 프라이버시 보호와 개방감을 동시에 이룰 수 있게 되었고, 동시에 정면 재료 간극의 허전함을 채워줄 수 있는 디자인 요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