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음플러스는
우리의 삶,공간, 환경의 아이덴티티를 담고
아름답고 가치 있게 만드는 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삶과 경험의 방식을 설계합니다.
지음플러스는
행복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멋스러운 의,식,주 그리고 도시, 공간, 환경을 기획하고 디자인합니다.
공간(건축, 도시, 부동산)과 환경을 통합한 디자인시스템은
우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을 행복하고 풍요롭게 합니다.
지음플러스는
자연을 섬기고, 존중하며, 자연과 관계를 맺는
장소와 공간을 기획, 설계합니다.
지음플러스는
이러한 가치에 동의하는 다양한
협업자들과 함께합니다.
지음 플러스는 경제적 이익을 넘어
행복하고 건강한 삶, 경험, 이야기 그리고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 갈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비지니스를 추구합니다.
지음플러스는
우리의 삶,공간, 환경의 아이덴티티를 담고
아름답고 가치 있게 만드는 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삶과 경험의 방식을 설계합니다.
지음플러스는
행복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멋스러운 의,식,주 그리고 도시, 공간, 환경을 기획하고 디자인합니다.
공간(건축, 도시, 부동산)과 환경을 통합한 디자인시스템은
우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을 행복하고 풍요롭게 합니다.
지음플러스는
자연을 섬기고, 존중하며, 자연과 관계를 맺는
장소와 공간을 기획, 설계합니다.
지음플러스는
이러한 가치에 동의하는 다양한
협업자들과 함께합니다.
지음 플러스는 경제적 이익을 넘어
행복하고 건강한 삶, 경험, 이야기 그리고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 갈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비지니스를 추구합니다.
LH 방학동 해심당, 고령자와 도심을 위한 새로운 주거 모델 제시한다. ■ 어르신 맞춤형 커뮤니티 케어 도심형 공동체 주택, 해심당(海心堂)해심당은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며, 도심 내 공공성 기여와 사회적 가치 실현을 통해 임대주택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지역에 부여하고자 하는, LH 공공 리모델링 임대주택 시범모델이다. ‘편한 마음을 가지고 지내실 수 있는 집’을 의미하는 해심당(海心堂)은 기존의 도봉구에 사는 고령 인구들이 살던 곳에서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도록 주거 편의 시설과 건강, 돌봄 등의 서비스가 연계된 생활형 SOC공간이 일체화된 공공임대주택이다. 이 새로운 주택모델은 고령자와 함께 거동이 불편한 이들도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1층은 장애인을 위한 공간, 2층은 할머니들을 위한 공간, 3층은 할아버지, 4층은 고령자 부부 형으로 나눠 세대특성에 맞도록 공간을 구성하고, 층마다 특화된 디자인은 고령자와 함께 거동이 불편한 이들도 거주할 수 있게 설계되어 LH 최초로 소규모주택 BF 인증을 취득했다. 지상 1층 도로변에 인접한 곳에는 지역 커뮤니티 공간을 설치하여 저렴한 가격의 카페, 음료 등으로 지역주민들에게 쉼터의 공간을 제공하였다. 층별 커뮤니티 시설인 공동거실(경로당)을 통해 휴식과 교류, 여가활동이 이루어지고, 하늘과 맞닿은 천창이 있는 최상층 복도(안마당)에서 휴식과 여가를 즐기거나 옥상 텃밭에서 소일거리를 찾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그리고 동네의 경관과 어울리는 벽돌 마감, 각 층에 생활환경 인지 디자인을 적용한 칼러, 생명을 상징하는 나무를 모티브로 디자인이 된 Infineli 외부 강판 마감 등을 통해, 고령자들에게 자신의 공간을 인지시킬 뿐만 아니라, 동네에 새로운 아름다운 건물을 제공하였다. ■ 생물종 다양성 확보를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도심형 공동체 주택, 해심당(海心堂)해심당은 아직 국내에는 생소한 Biophilic design을 건축계획에 반영하였다. Biophilic design은 생명체에 대한 사랑을 뜻하는 Biophilia에 기반을 둔, 자연과 어울리고 함께하는 design을 말한다. 자연을 현대적인 건축과 어우러지게 하여, 일상의 공간에서 자연을 만날 수 있게 한다.먼저, 옥상 정원 및 텃밭은 단순한 도시 텃밭과 정원의 차원을 넘어, 다양한 생물과 식물이 상호작용하는 지속 가능한 정원과 농업이 결부된 퍼머걸쳐 (Permaculture)으로 설계되었다. 비록 200㎡의 작은 옥상 공간이지만, 다양한 생태계가 공존하는 도심의 정원의 역할을 한다. 1층 커뮤니티 공간을 포함, 각층 공용공간에 적용된 벽면녹화는 자연의 환경을 실내에 제공하여, 거주민과 이용자들에게 자연의 쾌적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그동안의 많은 건물이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생산 또는 절감에 비중을 두었다면, 해심당은 생물종다양성을 확보하고, 녹색 공간 구축을 통해, 환경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해심당은 주민들의 커뮤니티를 도모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공공건물로서 사회주택의 새로운 역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 LH 공공 임대주택의 공공의 가치, 그리고 지역사회와 상생 추구그동안 한국사회에서, 임대주택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관은 지속해서 존재했다. 해심당은 지역과 거주민에 특화된 공간계획과 건축 디자인을 통해 우리 동네의 자랑거리, 볼거리, 기후위기에 함께 대응할 수 있는 공공의 멋진 장소, 건물이 될 것이다. 해심당은 거주민인 어르신들의 자존감과 자립심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와 건강하고 긍정적인 상생을 추구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Romadic home (Romantic + Nomadic), 낭만과 자유의 생태 별장 “로마딕”은 ROMANTIC(낭만적인) 과 NOMADIC (유목의, 방랑의) 2 단어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신조어이다.로마딕은 생태적인 삶과 낭만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꿈꾸는 이들을 위한 공간 브랜드이다.
1. 강원도 대형 산불2019년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에서 일어난 1,757ha의 규모의 대형 산불로 국토부는 이재민과 그 피해가 가장 높은 고령자 인구를 위한 건강한 삶이 있는 공동체 주택을 지을 방안을 강구 하게 된다. 이에 LH는 특별재난지역 주거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국토부와 고성군 지자체, 와 함께 고성 산불 이재민을 위한 공동체 주택 특별 MOU를 체결한다.2. 산불 이재민을 위한 공동체 주택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인흥리 205에 위치한 산불 이재민을 위한 공동체 주택은 대지면적 744㎡에 15세대, 규모 4층 높이의 고성 산불 이재민들에게 삶의 희망과 터전을 마련해 줄 수 있는 질 높은 농촌형 사회주택이다. 이 사회주택은 어르신 맞춤형 주택 공간계획과 지역과 상생하는 생활 커뮤니티 도입및 특색 있는 건축 및 공간계획을 추구했다. 특히 공용 복도와 현관문에 인지 디자인을 적용시켜 세대주 어르신들이 각자의 집을 단순히 호수가 아닌, 시각적인 구분으로 인지하게 하여 편리한 공간이동이 가능하게 했다. 뿐만 아니라, 옥상 공간의 파골라와 1층 야외 마루 화단 등 외부 생활 커뮤니티 공간을 자율적으로 이용하게 하여 세대주 어르신들의 능동적인 실내·외 출입을 통하여 실·내외의 유기적인 관계를 꾀하였다. 운용 계획으로는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생활 커뮤니티를 통해 건강, 교육, 취미, 보건 서비스 프로그램을 1층에서 진행하여 대상지 주변 공동체의 소통 촉매제 역할을 수행 할 예정이다.3. 한국 전통 건축의 재해석건물의 주 건축 디자인 컨셉은 한국 전통 건축의 재해석을 통한 공공주택에 한옥을 입히는 것이다.· 각 세대 구성 디자인에 한옥전통 공간개념인 ‘칸“ 개념을 적용, 개인 유니티 공간의 개별성 자체가 외관의 요소가 된다.· 한옥 창호 문양인 “띠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 베란다 난간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미적인 입면 요소가 된다.· 2,3,4층은 어르신들의 부귀와 장수를 의미하는 만자회문 문양과 황금 들녘을 상징하는 황금색의 강판이 적용이 된다. 강판에 들어간 문양은 Posco C&C의 infineli로 구현되었다.· 내부 인지 환경디자인과 상응하는 외부 색 인지디자인을 고궁의 단청색, 오방색에서 추출, 층별 외관디자인에 적용되어, 어르신들이 당신이 거주하시는 층을 쉽게 찾아 올 수 있도록 한다.. 1층과 2층 하층부는 땅과의 관계 그리고 한옥의 돌담을 구현하는 청고벽돌 마감으로 한국 전통 재료의 재해석을 구현한다.· 각 층의 공동거실은 햇살마루 내부 구성에 있어 한옥의 대청마루의 역할을 한다.한국 전통 창호가 벽을 둘러싸고 있어, 대청마루의 따뜻한 느낌을 연출한다. 입주민들인 어르신들이 즐겁게 모여서 담소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 되며, 또 다른 우리들만의 거실로서 행복한 일상을 이웃들과 나눌 수 있다.· 공동거실을 중심으로 외관의 볼륨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게 된다. 볼륨 사이의 보이드 공간은 하늘과 풍경을 담는 차경 역할을 하며, 이 아름다운 풍경은 고스란히 각층 거실과 옥상 그리고 주 출입구에서 경험하고 느낄 수 있다.4. 한국형 임대주택의 공공의 가치, 그리고 지역사회와 상생 추구LH 고성 햇살 마루 시범사업(산불이재민을 위한 공동체 주택)은 지역과 거주민에 특화된 공간계획과 건축 디자인을 통해, 고령자가 살고 있는 지역에 커뮤니티케어 안심주택을 제공을 하고, 건물과 장소의 공공의 가치를 구현하고자 한다.거주민인 어르신들의 자존감과 자립심을 향상 시키고, 지역 사회와 건강하고 긍정적인 상생을 추구하며, 한국형 임대주택의 새로운 미래상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