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세대·다가구주택

달빛아래집

대지는 동덕여대 근처의 골목 안쪽 땅이다. 대지 사방으로 오래된 다가구, 다세대주택과 주거용 신축건물들로 둘러싸여 있었다.

임대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주변의 많은 건축물들의 특성은 최소의 공용공간으로 최대의 실 개수와 전용면적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정작 입주자들의 거주 환경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게 된다. 협소하고 답답한 계단실과 복도를 지나 자신의 방으로 들어오면, 창 밖으로는 인접 건물의 또 다른 창이나 벽이 코 앞까지 붙어 있기 일쑤다.

우리는 입주자가 건물 로비를 들어와 자신의 방으로 들어가기까지의 공간에서부터 밝은 채광과 시원한 공간감을 느낄 수 있기를 바랐다. 지상 1층 로비부터 3층까지 오픈되는 계단실과 복도를 만들고, 크고 작은 창으로 채광과 환기를 극대화했다. 지상층의 모든 방은 인접대지 건물과 3m 이상 이격 될 수 있는 도로 쪽을 향하게 계획하여,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며 개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지하층의 방은 남쪽으로 선큰을 만들어 채광 및 환기를 고려했다.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용도 다세대·다가구주택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설계Studio22 (이동우, 서나영)
시공KCL건설
인테리어N/A
사진김한석
설계 기간4개월
시공 기간8개월
대지면적182.64㎡ (55.26평)
건축면적109.21㎡ (33.04평)
연면적344.58㎡ (104.26평)
층수지상 3층, 지하 1층
가구수14가구
준공년도2022년

스튜디오22 건축사사무소의 다른 프로젝트

달빛아래집
스튜디오22 건축사사무소
스튜디오22 건축사사무소
다세대·다가구주택 · 3층
대지는 동덕여대 근처의 골목 안쪽 땅이다. 대지 사방으로 오래된 다가구, 다세대주택과 주거용 신축건물들로 둘러싸여 있었다.임대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주변의 많은 건축물들의 특성은 최소의 공용공간으로 최대의 실 개수와 전용면적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정작 입주자들의 거주 환경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게 된다. 협소하고 답답한 계단실과 복도를 지나 자신의 방으로 들어오면, 창 밖으로는 인접 건물의 또 다른 창이나 벽이 코 앞까지 붙어 있기 일쑤다.우리는 입주자가 건물 로비를 들어와 자신의 방으로 들어가기까지의 공간에서부터 밝은 채광과 시원한 공간감을 느낄 수 있기를 바랐다. 지상 1층 로비부터 3층까지 오픈되는 계단실과 복도를 만들고, 크고 작은 창으로 채광과 환기를 극대화했다. 지상층의 모든 방은 인접대지 건물과 3m 이상 이격 될 수 있는 도로 쪽을 향하게 계획하여,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며 개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지하층의 방은 남쪽으로 선큰을 만들어 채광 및 환기를 고려했다.
단독·전원주택 · 3층
대지는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의릉을 품고 있는 천장산의 아랫자락이다. 흔히 '원룸'이라 불리는 용도와 작은 땅이지만, 가파른 경사지형을 활용해 지하 같지 않은 지하층을 만들고, 산 중턱에서 바라보는 도심의 풍경을 최대한 담아내는 것이 목표였다.각 실의 독립성과 공용부분의 조망 등을 위해 평면에서 '틈'을 많이 만들었고, 그 '틈'이 지하 선큰까지 연결되도록 했다. 지하에는 5개의 작은 뜰(庭/선큰)을 만들어 지하 환경을 개선하고, 각 실 및 공용공간에서 볼(監) 풍경이 많은 건축물을 계획했다.  
상가건물 · 7층
판교동 운중로에 접한 대지의 근린생활시설이다.  3면의 도로에 대해 입면의 일체감을 유지하며, 각 도로의 성격과 출입구를 고려하였다. 2가지 석재와 그레이계열 커튼월을 주 외장재로 하여 심플하고 투명한 모습으로 주변 및 인접광장과 소통한다.  
단독·전원주택 · 2층
미술 선생님의 작업실이 있는 단독주택이다. 주거공간과 작업실 공간을 평면적으로 분리하고, 하나의 지붕으로 층고가 다른 두 공간을 감싸는 형태이다. 두 공간의 비워진 공간으로 빛과 바람이 통하는 테라스를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