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니언은 건축(Architecture)과 연방(Union)을 합쳐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다양한 사람들 각자의 개성과 가치관을 존중하고, 통섭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건축연방입니다.내 방에서 시작하여,동네를 지나치며 마주하는 건물, 동네, 도시,그리고 문화와 사회에 이르기까지,공간적, 문화적, 시대적 현안을 건축이라는 사고의 틀로 '연'구하는 '방'입니다.건축은 한사람의 힘으로 이루어 질 수 없습니다.한 사람의 독단적이고 강압적인 판단을 지양하고,각 주체간 끝없는 수평적 소통으로 건축에 다가가려 합니다.
아키니언은 건축(Architecture)과 연방(Union)을 합쳐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다양한 사람들 각자의 개성과 가치관을 존중하고, 통섭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건축연방입니다.내 방에서 시작하여,동네를 지나치며 마주하는 건물, 동네, 도시,그리고 문화와 사회에 이르기까지,공간적, 문화적, 시대적 현안을 건축이라는 사고의 틀로 '연'구하는 '방'입니다.건축은 한사람의 힘으로 이루어 질 수 없습니다.한 사람의 독단적이고 강압적인 판단을 지양하고,각 주체간 끝없는 수평적 소통으로 건축에 다가가려 합니다.
도심 속 경사진 대지 위에 지어진 이 다세대주택은, 건물 앞면에 세로로 긴 틈을 두어 자연스럽게 빛과 바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일부 세대에는 복층과 다락, 테라스가 더해져 다양한 생활 방식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집 안에서 도시 풍경을 여유롭게 누릴 수 있는 구조가 특징입니다.
서울 성수동의 주택가에 위치한 1980년대 다가구 주택을 기업 직원 기숙사로 리모델링한 프로젝트입니다.기존 주택의 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며 단위세대를 분할해 공간 효율을 높였고, 각 층에는 공용 세탁실과 팬트리, 상층부에는 통합 공용 주방과 라운지를 구성했습니다. 특히 최상층과 옥상은 폴딩도어를 통해 실내외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테라스와 간이 정원 공간까지 연계되어 다양한 방식의 일상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공용 공간과 사적인 공간은 수직적으로 분리되고, 설비는 층별로 정렬하여 관리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새로운 쓰임이 기존 건축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구성되었으며,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성수동이라는 지역적 맥락과 프로그램의 요구를 균형감 있게 반영하고자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