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전원주택

Brick Houseㅣ브릭하우스

Brick House ㅣ 브릭하우스

대지는 북쪽에 도로를 두고 남쪽으로 트여 있어 좋은 전망과 채광을 확보하고 있었고 동쪽으로 숲을 마주보고 있어 자연을 바로 접할 수 있는, 주택의 입지로 볼 때 여러모로 좋은 땅이었다. 몇 번의 미팅을 통해 널찍한 대지를 ㄴ자로 감싸는 형태의 메스로 안이 정리되었다.ㄴ자 형태의 메스는 건물을 이용해 대지 내/외부를 명확하게 분리하여 마당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함과 동시에 마당 넓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1층 메스를 남쪽, 동쪽으로 길게 뻗어 2층에서 접근할 수 있는 테라스를 확보하였고, 테라스 상부에 충분한 크기의 캐노피를 설치하여 테라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층에도 거실과 주방, 침실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넓은 목재 데크와 조경석을 깔아 외부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도록 하였다.

이 집은 3개 방향으로 뻗은 건물 형상 덕분에 각기 다른 3개의 테라스를 가지고 있다. 각각 남쪽, 동쪽, 북쪽을 향하고 있는 테라스들은 주변의 조망과 자연환경을 마음껏 즐길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동쪽 침실 측면의 테라스는 크기는 작지만 마치 숲 속에 들어와 있는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공간이다.

집을 외부에서 보았을 때 여러 개의 메스가 맞물려 있는 형상인데, 외부재료로는 벽돌을 적용하였으며 마감재료인 벽돌의 물성을 더 잘 보여는 것을 고민하였다.

Brick Houseㅣ브릭하우스
이데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_IDÉEAA
이데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_IDÉEAA
단독·전원주택 · 2층
Brick House ㅣ 브릭하우스대지는 북쪽에 도로를 두고 남쪽으로 트여 있어 좋은 전망과 채광을 확보하고 있었고 동쪽으로 숲을 마주보고 있어 자연을 바로 접할 수 있는, 주택의 입지로 볼 때 여러모로 좋은 땅이었다. 몇 번의 미팅을 통해 널찍한 대지를 ㄴ자로 감싸는 형태의 메스로 안이 정리되었다.ㄴ자 형태의 메스는 건물을 이용해 대지 내/외부를 명확하게 분리하여 마당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함과 동시에 마당 넓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1층 메스를 남쪽, 동쪽으로 길게 뻗어 2층에서 접근할 수 있는 테라스를 확보하였고, 테라스 상부에 충분한 크기의 캐노피를 설치하여 테라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층에도 거실과 주방, 침실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넓은 목재 데크와 조경석을 깔아 외부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도록 하였다.이 집은 3개 방향으로 뻗은 건물 형상 덕분에 각기 다른 3개의 테라스를 가지고 있다. 각각 남쪽, 동쪽, 북쪽을 향하고 있는 테라스들은 주변의 조망과 자연환경을 마음껏 즐길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동쪽 침실 측면의 테라스는 크기는 작지만 마치 숲 속에 들어와 있는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공간이다.집을 외부에서 보았을 때 여러 개의 메스가 맞물려 있는 형상인데, 외부재료로는 벽돌을 적용하였으며 마감재료인 벽돌의 물성을 더 잘 보여는 것을 고민하였다.
다세대·다가구주택 · 2층
테트리스 하우스ㅣTetris House‘하나 이면서 셋’건축주의 첫 번째 요구사항은 210㎡의 대지에 건폐율 60%를 최대한 활용하여 2층짜리 건물을 짓되, 세 가구가 살 수 있는 건물을 설계해 달라는 것이었다. 은퇴하신 부모님과 미혼인 아들, 자녀가 둘 있는 딸 부부, 그리고 임대 세대까지 이렇게 세 가구를 위한 공간을 설계하는 것의 우리들의 숙제였다. 보통 은퇴하신 부모님을 중심으로 3대가 모여 사는 집일 경우 하나의 주거 공간 속에서 각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며 가족들이 함께 살 공간들을 마련해 주는 것이 일반적인데, 율현동 주택 건축주의 경우 부모님과 딸 부부가 완전히 분리된 세대가 되기를 원하였고, 또한 완전히 분리된 별도의 임대 세대까지 있어서 제한된 건축면적에서 어떻게 하면 세 가구를 효율적으로 분배해 넣을 것인지가 가장 큰 고민이었다.세 가구로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다 보니, 각 공간에서 살게 될 건축주의 의견도 서로 엇갈리게 되었다. 부모님은 임대세대를 직접 관리하시면서 조금은 평번하고 편안한 단층형 주택에서의 삶을 원하였고, 딸 부부는 기존 아파트에서의 삶과는 완전히 다른 2층짜리 주택를 원하였다. 조율하기 힘든 이 두 가지 엇갈린 의견이 오히려 건물의 컨셉을 정하게 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한쪽의 생각을 선택하여 가기 보다는 두 가지 생각이 모두 반영될 수 있는 건물의 구성개념을 떠올리게 된 것이다
상가건물 · 4층
어나더 빌딩ㅣAnother building대지는 서울 강남 도심의 이면도로의 교차로와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었다.법적인 조건이 불리한 지역지구와 대지에서 우리는 일반적인 건물군들 보다 더 단순한 입면과 볼륨의 조합을 통하여 평범한 조합이 약간의 ‘다름’을 느껴지도록 계획하였다.하나의 덩어리 형태에서 볼륨감을 더 강하게 느낄 수 있도록 건축물의 재료는 콘트리트로 구축되었고,구조체인 동시에 마감제로 내외부에 동시에 적용하였다.건물의 프로그램은 임대를 위한 연면적 150평정도의 작은 근린생활시설이지만, 경사로를 지나는 주민들에게 대지의 일부분을 계단으로 제공하여 시민들의 편의는 물론 건물로의 접근이 쉽도록 계획하였고, 투박하지만 단순함으로 보여질 수 있는 디테일과 본질적인 건축적 구성을 통하여 도시의 풍경속에 작은 ‘다름’을 만들고자 하였다.
상가건물 · 3층
라티스빌딩 ㅣ Lattice bldg. < ST_R_UK_T >건물이 위치한 광주 동구 동명동은 최근 들어 고급 개인주택들이 자리하고 있던 곳에 조금씩 빈집들이 생겨나고 그곳에 젊은이들이 좋아할 만한 카페들이 들어서면서 활기를 더해가고 있는 동네이다. 또한  ‘광주아시아문화의전당’과 ‘조선대학교’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일정한 문화수요가 집중되는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입지조건의 대지에 1,2층의 카페 및 독립서점, 3층 단독주택이 합쳐진 복합 근린생활공간을 만든다는 것은 건축가로서 매우 매력적인 프로젝트가 아닐 수 없었다. 직접 운영하고 거주할 1,2층의 카페 및 서점과 3층의 단독주택을 함께 신축하고자 했던 건축주에게 이 건물은 굉장히 사적인 개인 건물이자 누구든 편하게 드나들 수 있어야 할 공공건물이어야 했다. 이러한 상충되는 조건들을 안고 프로젝트는 시작되었다.  우리의 접근 또한 이 건물을 사적인 개인주택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공적인 문화시설로 볼 것인가 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먼저 건축주의 첫 번째 요구사항은 적절한 폐쇄성을 띈 사적인 건물을 만들어 달라는 것이었다. 아무래도 직접 거주하게 될 단독주택이라는 측면이 더 강하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운영하게 될 카페 및 문화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야 했는데, 그것을 여느 공공건물처럼 건물 전면의 넒은 오픈스페이스와 환영하는 듯한 커다란 정문을 두는 방식으로 계획할 순 없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제안한 것은 도로에서 본 건물의 외관은 엄격하고 폐쇄적이되 건물 안쪽 공간에는 커다란 마당을 두어 외부에서 한번 필터링 되어 들어온 건물 사용자들이 안마당을 공유하면서 다양한 활동들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었다.  외부에서 볼 때 엄격하게 정렬된 구조 프레임은 이 건물이 쉽게 접근하기 힘든 사적 소유물임을 말하는 듯하다. 동시에 그 프레임 사이에 뚫려있는 창호는 1층에서 대부분 열려 있어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카페의 입구로서 기능하고, 3층의 주택으로 갈수록 점차 메꾸어 진다. 이는 공적 영역에서 사적 영역으로의 변화가 입면에서도 드러나도록 계획한 것이다.  반면 건물의 내부로 들어서면 남향의 햇빛을 머금은 안마당이 드러나고, 안마당은 지하 선큰공간, 1,2층의 테라스, 스탠드형 옥외계단과 3층 주택의 발코니로 둘러싸여 서로간의 시선의 교류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공유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낸다. 흔히 건축에서는 ‘공용면적’으로 불리며 건물의 부속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계단과 발코니, 복도 등이 안마당에서 서로 만나면서 이 건물의 실질적인 주인공이 된다.    광주 동명동 프로젝트는 우리에게 있어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이 혼재되는 상황에서 발생되는 양성적인 공간에 대한 탐구였다. 이 건물의 안마당은 아무에게나 허락되지 않는 비밀의 정원이면서, 한편으로는 모두에게 열려있는 (개인주택 조차도 드러나게 되는) 야외마당이다. 외부 입면의 정렬된 그리드 구조 패턴 사이로 내부의 안마당이 투과되어 보일 수 있도록 내부 공간에 기둥이나 벽체를 최소화 한 것도 건물의 양면성을 보여주기 위한 하나의 장치이다.    흔히 도시공간에 들어서는 건축물에 대해 공공성을 권유한다. 그것은 대부분의 건물이 아무리 개인 소유의 부동산이라 할지라도 도시공간속에서는 공공재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이는 공개공지와 같은 법적인 제안을 통해 개인 소유의 대지를 일부 내어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곤 한다. 동명동 프로젝트에서는 그것을 처리하는 방식이 공개공지와 같이 겉으로 드러나는 적극적인 공유는 아닐지라도 안마당이라는 타협을 통해 오히려 더욱 소통하는 공간이 만들어졌다고 생각한다.